식품&의약정보

하림, ‘용가리 AR 다이노 뮤지엄’ 인기에 매출 껑충

- 하림, ‘용가리’ 라인업 확장 및 어린이 대상 다채로운 프로그램 호응 얻으며 5월 매출 22.5%↑
- 5월부터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과 MOU 맺고 특별전, 생일파티, 간식상자 선물 등 진행
- 7월 9일까지 열리는 ‘용가리 AR 다이노 뮤지엄’ 특별전, 스마트폰앱과 연동 생생한 볼거리 선사

 

종합식품기업 하림의 용가리 브랜드가 동심잡기에 성공했다.
하림은 아이들 간식과 밥반찬으로 사랑받는 ‘용가리’ 브랜드의 라인업을 확장하고 소비자와의 접점 행사를 확대한 결과 5월 용가리 브랜드 전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2.5% 상승했다고 밝혔다.

하림은 1999년에 출시한 ‘용가리 치킨’의 꾸준한 인기에 힘입어 올해 공룡 모양 동그랑땡 ‘용가리 땡’ ‘용가리 만두’ ‘용가리 어묵’ 등 신제품을 잇따라 선보이며 이례적으로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과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서대문자연사박물관은 실물 크기의 공룡 전시물을 보기 위해 가족 단위 관람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은 곳으로 유명하다. 하림은 동심을 사로잡는 공룡 박물관에서 어린이들이 ‘용가리’와 함께 더 즐거운 추억을 쌓길 바라며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하림은 5월 한 달간 서대문자연사박물관에서 주말마다 5월에 태어난 어린이들을 초대해 쿠킹클래스와 함께 생일파티를 열었다. 또한, 5월 20일과 21일엔 용가리 제품을 즉석에서 조리해 담은 ‘용가리 간식상자’ 1,500개를 선물해 폭발적인 호응을 얻었다.

뿐만 아니라 5월 16일에 시작된 ‘용가리 AR 다이노 뮤지엄’ 특별전이 큰 인기를 모으고 있다. 공룡시대를 연상시키는 분위기의 공간에 티라노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등 아이들이 특히 좋아하는 공룡 조형물들이 기다리고 있다. 

 

 

휴대전화에 큐리오 사파리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뒤 전시된 공룡 AR 카드를 카메라로 비추면 여러 공룡을 증강현실로 만날 수 있다. 

생생한 소리와 함께 3차원(3D) 이미지의 공룡이 나타나 아이들의 호기심을 한껏 자극한다. 전시장 입구에서 관람객을 맞이하는 150cm 높이의 용가리 조형물과 전시장 곳곳에 숨겨진 미니 용가리를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하다. 전시는 7월 9일까지다.

하림 마케팅팀 관계자는 “오랫동안 사랑받고 있는 용가리 브랜드를 색다르게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서울 서대문자연사박물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했는데 좋은 결과로 이어졌다”며 “앞으로도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계속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