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팜스코 '장학사업' 눈길...연암대학에 장학금 쾌척

- 김남욱 사료사업총괄본부장 "산학협력을 통해 농축산업 미래 인재를 양성하도록 꾸준한 지원"
- 육근열 총장 "차세대 농업기술 선도하는 농축산 특성화 대학으로 발전"

 

친환경 축산전문기업을 내 세우고 있는 팜스코가 연암대학교에 장학금을 쾌척해 눈길을 끌고 있다.

(주)팜스코(대표 정학상)가 최근 산학협력 활동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는 연암대학교(총장 육근열)에 장학금을 쾌척했다.

선진 영농기술인재 육성을 위한 (주)팜스코의 2022년 2학기 장학금기증식에는 팜스코에서 사료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김남욱 사료사업총괄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장학금 전달식에서 팜스코 김남욱 본부장은 "산학협력을 통해 농축산업 미래 인재를 양성하도록 꾸준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육근열 총장도 "차세대 농업기술 선도하는 농축산 특성화 대학으로 더욱 발전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편, 친환경 축산전문기업을 지향하고 있는 (주)팜스코의 장학사업은 지난 2017년부터 매년 꾸준하게 실천해 오고 있으며 240여명에게 장학금 2억4천만원을 전달해 눈길을 끌고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