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멧누에' 신품종 육종까지 기대

- 농촌진흥청 "우리나라 자생 '멧누에' 누에 기원집단으로 밝혀"
- 곤충양잠산업과 "누에 신품종 육종, 생물다양성 보전자료로 활용"

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전남대학교(김익수 교수 연구팀)와 공동으로 유전체 분석을 통해 우리 멧누에(야생누에)의 기원을 추적하고,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멧누에 집단이 중국 북부지역의 멧누에 집단과 함께 우리나라 집누에의 기원집단임을 밝혔다.

누에는 5,000년 이상 가축화된 생활 곤충으로 유전학, 식품,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약 3,000여 년 전 중국에서 누에를 받아 양잠을 시작했다고 전해지는데, 그동안 중국에서 기원한 누에는 그 조상 집단(멧누에)도 중국에만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번 연구는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의 하나로 우리나라 누에 고유종인 삼면잠의 유전체 해독과 누에 품종 간 유전체 비교 분석으로 우리 집누에의 조상 격인 멧누에의 기원을 추적한 것이다.

연구팀은 우리나라가 보유하고 있으며, 농가 보급용으로 육성한 누에장려품종 원종인 집누에나방 37개 품종과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멧누에나방 4개체의 완전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서열을 확보했다.

또한, 진뱅크(GenBank)에 보고된 집누에나방과 멧누에나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염기서열을 포함해 총 86개체(집누에나방 65개체, 멧누에나방 21개체)를 대상으로 집단유전학적 특징과 계통을 분석해 우리나라 멧누에의 기원을 추적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 멧누에나방은 선양, 하이양, 스취안, 칭저우 등 중국 북부지역에서 발생하는 멧누에나방과 유전적으로 가장 밀접하며, 우리나라 멧누에가 중국 북부지역의 멧누에와 함께 우리나라 집누에의 공통 조상임을 발견했다. 이는 과거 빙하기 서해의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생물의 이동이 원활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특히 현재 집누에와 멧누에는 상호교배가 가능한 종임을 고려할 때, 이번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멧누에의 유전자를 이용한 새로운 누에 품종 육종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올해 1월 국제학술지 Biology(IF=5.079)에 논문으로 게재했다. 연구 결과는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곤충양잠산업과 최광호 과장은 “생물자원에 대한 국가 간 주권 경쟁이 치열한 시기에 우리나라 멧누에의 기원을 밝힘으로써 우리나라 유전자원 주권 확립의 기반을 마련하고, 관련 산업에도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