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제6회 녹색문학상 수상작 발표

시인 임보 ‘산상문답’, 소설가 김호운 ‘스웨덴 숲속에서 온 달라헤스트’

6회 녹색문학상 수상작 발표

시인 임보 산상문답’, 소설가 김호운 스웨덴 숲속에서 온 달라헤스트

 

산림청(청장 김재현)‘2017년 제6회 녹색문학상에 시인 임보 씨의 산상문답(山上問答)’과 소설가 김호운 씨의 중편소설 스웨덴 숲속에서 온 달라헤스트를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녹색문학상()한국산림문학회가 산림청의 지원을 받아 숲사랑·생명존중·녹색환경보전의 가치와 중요성을 작품 주제로 한 문학작품을 발굴하는 상이다.

올해는 177건의 작품이 추천되어 17(시집 9, 시조 1, 동시 1, 소설 4, 수필집 2)이 본선에 올랐다.

 

시인 임보는 1940년 전남 순천 출생으로, 1962현대문학으로 등단했다. ‘임보의 시들 59-74’, ‘검은동뻐꾸기의 울음20권의 저서가 있고 윤동주문학상, 김현승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1950년 경북 의성 출생인 김호운은 1978년 단편소설 유리벽 저편으로 월간문학 신인상을 수상하며 소설가로 등단했다장편소설 빗속의 연가18권의 저서가 있고 한국문학백년상, 한국소설문학상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시상식은 오는 15일 오전 1030분 문학의 집·서울 산림문학관에서 열리며 수상자에게는 각 1500만원씩 총 3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이용석 산림휴양등산과장은 “‘공정하고 투명한 심사를 위해 우리나라 대표 문학단체인 한국문인협회, 한국작가회의, 국제PEN클럽, 문학의 집·서울의 실무책임자 등이 이번 대회 운영위원으로 참여했다, “앞으로 녹색문학상을 국내는 물론 세계적인 문학상으로 키워 산림문화 저변을 확대해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역대 녹색문학상 수상작은 2012년 제1회 녹색문학상에는 박희진 시인(‘낙산사 의상대 노송 일출’, ‘거연정’ 2편의 시) 2013년 제2회 녹색문학상은 현길언 소설가(장편소설 숲의 왕국’) 2014년 제3회 녹색문학상은 조병무 시인(‘숲의 소리를 들었는가’, ‘산을 오르다보면’ 2편의 시)과 이용직 소설가(장편소설 편백 숲에 부는 바람’) 2015년 제4회 녹색문학상은 김후란 시인(비밀의 숲’) 2016년 제5회 녹색문학상은 이순원 소설가(장편소설 백년을 함께한 친구 나무’)이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어촌공사, ‘안전한국훈련'...재난 대응력 강화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중)는 10월 30일 전북 김제 청도 저수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영산강홍수통제소,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등 14개 유관기관·단체 1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집중호우에 따른 저수지 제방 붕괴 우려 상황을 가정한 ‘2025년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로 집중호우 빈도와 피해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극한 강우와 풍수해에 대비해 현장 대응체계와 기관 간 협업을 점검하고 대응력을 높이는 데 목적을 뒀다. 농림축산식품부와 공사가 합동으로 실시한 이번 훈련에서 농림축산식품부는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운영하고, 공사는 현장조치를 중심으로 대응태세를 점검했다. 훈련은 폭우와 산사태가 동시에 발생해 저수지 방류가 어려워지고 이에 따라 저수지 월류와 사면 슬라이딩 현상이 발생한 복합 재난 상황을 가정해 진행했다. 상황 발생 직후 공사는 상황판단회의를 열어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하고 주민 대피, 수위 조절, 응급 복구 등 단계별 대응조치를 신속히 수행했다. 산사태로 도로가 막힌 구간은 굴삭기를 투입해 토사를 제거했으며 한국전력공사와 협력해 훼손된 전신주를 복구하는 등 초동 조치를 병행했다. 또한 드론으로 현장 상황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지연금 ‘공공 마이데이터’ 도입...연금 가입 시 서류 제출로 간편
한국농어촌공사는 29일부터 고령 농업인이 소유 농지를 담보로 매월 연금 방식으로 노후 생활 안정 자금을 받는 ‘농지연금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의 ‘공공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행정·공공기관이 보유한 본인 행정정보를 본인(또는 본인이 지정하는 제삼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다. 공사는 2024년 10월부터 농지은행사업에 공공 마이데이터를 도입하고 대상 서류를 확대해 왔으며, 이번에 농지연금 사업에 추가 적용하여 농지은행 전 사업에서 공공 마이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앞으로 농지연금 가입 희망자는 계약에 필요한 서류 4종을 간편인증이나 휴대전화 인증을 통해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농지연금사업이 60세 이상 농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만큼, 고령 농업인의 서류 준비 과정을 대폭 축소해 고객 부담을 낮추고 편의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간 1만 2천여 건의 종이 서류가 온라인으로 대체되어 종이 사용 절감과 탄소 배출 감소가 기대된다. 향후 공사는 농지은행 디지털 전환을 지속해 국민이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업무 생산성 높일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