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갈등 없애는 ‘빵’ 나누기!

나눠진 빵도 상대방부터 선택하게 해 줘라!

갈등 없애는 나누기!

나눠진 빵도 당신부터 선택하게 해 줘라!

 

 

겨울 찬바람이 유난스럽게 매섭다. 국내 산업전반에 불경기 찬바람도 가시질 않고 있지만 농업계에 불어닥치고 있는 스산한 기운은 심상치가 않다.

 

칠레를 시작으로 그동안 체결해 온 각종 FTA는 국내 농업에 대한 실오라기같은 희망마져 놓게 만들어 놓고 있고 최근 중국과 진행하고 있는 한중FTA는 여기에 기름을 부어 놓은 듯 체념하게까지 만들어 놓고 있다.

 

농민단체들은 꾸준하게 FTA를 반대해 오고 있다. 중국과의 FTA에 대해서는 더 큰 경계를 하고 있지만 비젼은 ‘FTA밖에 없다는 일념 하나에 생명산업인 농업은 조용히 묻혀가고 있다.

지금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은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하에 9차협상까지 빠른 속도로 진행이 돼 왔다.

 

예정대로 중국과의 FTA가 체결될 경우 국내 농업은 급속도로 위축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특히, 제주지역 농수산물이 그동안 내륙지 먹거리 공급기지역할을 해온 터라 이 지역의 타격은 더욱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그렇다고 체념만 할 수 없는 노릇이다.

 

 어느 선까지 한계는 있겠지만 향후 중국 농수산물 수입에 대비한 경쟁력 있는 품목으로 국내 농업의 영농방향을 준비하고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여기에 전문화된 영농집단들은 중국 먹거리 공급기지가 한국농업이 될 수 있도록 수출농업에 대한 자신감도 보여줄 때가 됐다.

 

아울러 FTA체결을 통해 이득을 차지한 자동차, 전기전자와 같은 수혜를 얻은 산업분야들은 농업을 중요한 상생의 파트너로 여겨야 한다. 지금까지 이들이 보여준 모습은 농업이 귀찮은 존재로만 여기고 있는 듯 하다. 이래선 상생할 수도 없고 갈등만 부추겨 사회적 손실만 커질 뿐이다. 이들도 한국 농업이 자생하고 경쟁력을 갖춰 나갈 수 있도록 획득한 파이를 함께 공유한다는 철학을 가져야 한다.

 

빵은 나눠 먹어야 갈등이 해결이 된다. 수혜를 받은 이들은 여기에 그칠 것이 아니라 농업농촌에 대해 다각적이고도 유기적인 투자를 아끼지 말고 국내 농업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도록 솔선수범해 주기를 공개적으로 주문해 둔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악취관리시스템, ‘축산환경e로움’으로 새롭게 출발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축산악취관리시스템’의 명칭을 ‘축산환경e로움’으로 변경하고, 9월부터 본격적으로 홍보에 나선다. 기존의 축산악취관리시스템은 2017년 축산악취 관리를 위해 처음 구축되었으며, 현재는 깨끗한 축산농장, 가축분뇨 자원화조직체 운영, 축산악취개선사업, 가축분뇨 처리시설 및 관련기술 평가, 축산환경조사, 악취측정 ICT 기계·장비 지원사업 등 주요 사업을 포괄하는 시스템으로 확대·운영되고 있다. 이번 명칭 변경은 ‘악취’라는 단어가 주는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고, 사용자 혼란을 줄이기 위해 온라인을 통해 전체 사용자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총 44명이 81건의 명칭을 제안하였으며, 농림축산식품부·지자체·관리원 관계자 심사를 거쳐 최종 명칭이 확정됐다. 심사 결과, ‘축산환경e로움’이 평균 89.7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최종 당선작으로 선정됐다. 새 명칭은 ‘축산환경’과 ‘e(efficient·easy)’에 ‘이로움’을 결합한 합성어로, 온라인 시스템이 제공하는 효율적이고 편리한 사업 관리·운영 시스템을 의미한다. 축산환경관리원 산업기반부 이정식 부장은 “이번 명칭 변경으로 시스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확산하고, 사용자 혼란을 줄이는 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진원, ‘사료용 맥류 보급종 종자’ 9월 15일부터 농가 신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사료용 맥류 4작물 4품종(청보리, 호밀, 트리티케일, 겉귀리)의 보급종 종자를 농가단위 개별신청을 받아 보급한다. 이번 신청은 ‘종자광장’ 누리집을 통해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신청도 가능하다. 신청자는 ‘종자개별신청’→ ‘신규신청’ 메뉴에서 배송정보를 입력하고 원하는 종자를 선택한 후, 입금 안내 문자를 수신 받아 입금 절차를 완료해야 한다. 입금자명과 신청자명이 일치해야 배송되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신청 가능 품종과 수량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신청 취소 등으로 변동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보급되는 품종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중북부작물연구센터에서 육성한 청보리 ‘유진’, 호밀 ‘대곡그린’, 트리티케일 ‘한영’, 겉귀리 ‘하이스피드’ 등으로 포장 단위는 20kg이다. 전량 미소독 상태로 공급되며, 공급가격은 청보리 36,000원, 호밀 45,000원, 트리티케일 40,000원, 겉귀리 42,000원이다. 가을에 파종하는 맥류는 겨울철을 견뎌야 하므로 파종 지역의 기후와 품종 특성을 반드시 확인한 후, 적합한 품종을 신청하길 권고한다. 청보리 ‘유진’은 1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