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오피니언...김태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수입쌀에 대한 2005년의 교훈! 산지 벼가마 투매현상 경계해야! 생산부족에도 쌀값 급락사태 불러

2005년 가을! 쌀 생산량은 476만 8천 톤으로 전년에 비해 4.6% 감소하였다. 그런데도 수확기 쌀 가격은 전년 대비 13.5%나 급락하였다. 공급이 감소하면 가격이 올라가는 것이 경제이론의 기본인데 그해 수확기 쌀값은 유례없이 하락한 것이다. 왜 그랬을까? 원인은 2006년부터 시판될 밥쌀용 수입쌀에 대한 심리적 불안감 때문이었다.

 

2004년 쌀 재협상에서 관세화 유예를 추가 연장하는 대신 의무도입물량을 늘리고, 과거 가공용으로만 도입하던 것을 밥쌀용으로 일부 시장에 판매하기로 하였다. 2005년 수확기에 밥쌀용 수입쌀이 판매되면 국내 쌀 시장이 붕괴될 수 있다는 막연한 불안감이 농가들과 산지유통업체들 사이에 팽배하였다. 이러한 우려는 벼를 투매하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반면, 벼를 사서 도정·판매하는 RPC들은 쌀값에 대한 불안감으로 최소한의 필요 물량만 매입하였다. 벼를 가진 사람은 시장에 물건을 밀어내고 살 사람은 구매를 꺼리면서 2005년 수확기 가격은 급락하였다. 수확기 가격이 크게 하락하자 정부는 수급이 공급과잉 상태가 아니었음에도 농협을 통해 14만 4천 톤을 추가로 매입했다.

 

이듬해 밥쌀용 수입쌀이 판매되었으나 물량이 많지 않았고 대형유통업체들에서도 수입쌀을 판매하지 않아 밥쌀용 수입쌀 도입에 따른 우려는 사려져갔다. 수확기에 벼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산지유통업체들의 재고가 바닥나면서 2006년 5월부터 가격은 급등하였다. 정부는 수확기에 농협을 통해 추가로 매입한 벼를 모두 시장에 방출하였다.

 

결국 밥쌀용 수입쌀 도입에 대한 불안심리로 인해 2005년 수확기 쌀 시장에 큰 혼란만 발생하였다. 수확기 가격이 급락하면서 싼값에 벼를 판 농민과 산지유통업체들은 큰 손해를 보았으며 정부도 9천억 원의 변동직불금 등 많은 비용을 지불하였다. 수입쌀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농민, 산지유통업체, 정부 모두가 손해를 보았던 것이다. 물론 이러한 혼란 속에 이득을 본 일부 산지유통업체들도 있었을 것이다.

 

올해는 지난 20년간의 쌀 관세화 유예가 종료되는 해이다. 정부는 쌀 관세화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정해 WTO에 최종 통보한다. 쌀 관세화 시 정부가 이야기한 300~500% 내외의 관세가 부과된다면 수입쌀 국내공급가격이 국산 쌀 가격보다 높아져, 현재의 의무도입물량 외 추가로 외국산 쌀이 도입될 가능성은 낮다.

 

쌀 관세화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으로 금년 수확기에 2005년과 같은 혼란이 반복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농가와 산지유통업체들은 쌀 관세화에 대한 정부의 결정과 관세율 수준을 보고 수입쌀이 국산 쌀보다 저렴하게 팔릴 가능성이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런 뒤 수확기 의사결정을 해도 늦지 않다. 관세화가 되더라도 정부가 제시한 수준의 관세율이라면 가격요인에 의한 추가적인 쌀 수입은 거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지나치고, 성급한 우려로 2005년과 같은 투매 현상과 가격 하락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할 것이다.

2014년은 2005년 가을의 경험을 되새겨 지혜를 모을 때이다.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봉협회, 세계 꿀벌의 날!... 슬로베니아 한국대사관과 협약체결
한국양봉협회는 5월 20일, 서울 슬로베니아 대사관에서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와 한국양봉농협이 양봉 6차산업 혁신과 공동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2년간 유효하며 이견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2년씩 그 효력이 연장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슬로베니아 예르네이 뮐러 대사는 “양국의 양봉교류를 통해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또한 세계 꿀벌의 날이 슬로베니아에서 UN에 건의하여 지정된 만큼 협회가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꿀벌의 날’이 정부 공식 기념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협력하겠다”며 꿀벌의 날의 공식 기념일 지정을 위해 함께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근호 회장은 “슬로베니아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선진양봉국가로 꿀벌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한 양봉문화와 선진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꿀벌 질병예방·관리 시스템은 우리가 배우고 도입해야할 중요 모델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내 양봉산업이 한단계 발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라며, 업무협약에 대한 긍정적인 시너지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양국은 꿀벌의 공익적 가치에 대한 공동 홍보 활동도 함께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번 업무협약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김인중 농어촌공사 사장 취임사… "사람 북적이는 농어촌 만들어"
김인중 한국농어촌공사 신임 사장이 15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취임식을 갖고 농어업과 농어촌 발전을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김인중 신임 사장은 취임사에서 “우리 농어업의 역사는 도전의 연속이었으며, 그 최일선에는 항상 농어촌공사가 있었다”라며, “그동안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도전에 임직원과 함께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어 김인중 신임 사장은 ▲사람이 북적이는 지속 가능한 농어촌 조성 ▲안으로는 흔들림 없는 농업, 밖으로는 세계로 뻗어나가는 농업 구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미래 농어업 기반 마련 ▲국민과 농업인에게 사랑받는 공사로 도약이라는 4대 경영 방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농촌다움 회복, 농지은행 확대, 밭작물 생산 기반 정비, 해외사업 확장,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체계 마련, 스마트 기술의 농업 분야 확대 적용, 국민 체감하는 성과 창출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김인중 신임 사장이 30년간 쌓아온 농정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국농어촌공사는 사회 전반의 급격한 패러다임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농어업·농어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끄는 공기업으로의 본격적인 도약을 시작하게 된다. 김인중 신임 사장의 임기는 2025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