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8월 9일(토)∼10일(일)까지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APEC 21개 회원경제체 모두가 참석하여 농식품 혁신 확산을 통한 식량안보 강화라는 공동 목표 아래 한 걸음 더 나아가기로 뜻을 모았다. APEC 21개 회원경제체는 아시아 12(한국, 중국, 일본, 대만, 홍콩, ASEAN 7(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베트남, 싱가포르, 필리핀, 브루나이)), 미주 5(미국, 캐나다, 칠레, 멕시코, 페루), 대양주 3(호주,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러시아 등 이다. 한국은 의장국으로서 ‘공동 번영을 위한 농식품 시스템의 혁신 추진(Driving Innovation in Agri-food Systems for Shared Prosperity)’을 주제로, 모든 회원경제체가 합의한 장관선언문을 채택하고, △2030 식량안보 로드맵 중간점검, △식량안보 정책 실무회의 운영세칙 확정, △회원경제체 간 혁신 사례 공유,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한 협력 방안에 관한 논의를 이끌었다. 또한, 일본·중국·베트남·말레이시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이 국내 스마트팜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25년 스마트팜 해외실증 지원사업'을 본격 시작한다. “스마트팜 해외실증 지원사업”은 해외 기관 및 기업과 수출 협의가 진행 중인 국내 스마트팜 기업을 대상으로, 현지에서 기술력을 검증할 수 있도록 소규모 실증 스마트팜 구축 비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농식품부가 새롭게 추진하는 이번 사업은 해외 진출을 준비 중인 국내 스마트팜 기업들의 현지 기술 검증을 지원한다. 선정된 기업들은 현지에 소규모 실증 스마트팜을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는 비용을 지원받게 된다. 농진원은 서류심사와 발표평가를 통해 6개 내외 기업을 선정할 계획이다. 평가는 기업의 기술력과 역량, 수출 가능성, 사업계획의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행된다. 선정된 기업에는 제품 제작비부터 물류·통관비, 현지 설치비용 등 실증사업 전반에 필요한 경비가 지원된다. 안호근 원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스마트팜 기술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우리 기업들의 해외시장 진출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한국 농업기술의 글로벌화를 위해 다각적인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남길 kenew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박대안)는 지난 17일부터 22일까지 육우인 지도자를 비롯해 농가 대표, 유관기관, 홍보대행 실무자 등 20여명의 육우산업 관계자와 ‘2019 육우자조금 육우인지도자대회 및 선진지 견학’을 진행했다. 육우 산업 발전과 육우의 가치 향상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한 ‘육우인지도자대회’에서는 육우인 지도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 함께 육우산업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찾는 토론의 시간으로 진행됐다. ‘2019 육우자조금 선진지 견학’은 축산 선진국인 호주를 방문하여 육우 산업 및 사육환경에 대한 현지 농장주와 대화의 시간을 가지고, 이어 현지마트를 방문하여 호주의 소고기 유통과 판매처 현장을 시찰했다. 이번에 방문한 호주 현지 농장은 뉴사우스웨일스주 모스밸리 인근에 위치한 ‘더 파인 패스토랄 팜(The pines pastoral farm)’ 으로 약 10만평에 블랙앵거스 400두를 사육하고 있다. 방목 사육환경을 가진 호주일지라도 생산성 향상과 최고의 품종 유지는 모든 축산업 종사자의 고민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자조금, 협회, 축협 등 단체를 통해 다양한 농가 지원이 이루어진다. 이에 비해 호주는 농가단체모임을 통해 종자, 품종 정보 등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