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청장 김인호)은 대형화하는 산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산림청, 국방부, 소방청, 경찰청, 국립공원공단 등 국가기관 진화 자원을 총동원하는 ‘범정부 산불진화자원 운용협의회’를 개최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기후변화와 극한 기상으로 인해 산불이 대형화되고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대 대비 2020년대 산불 발생 건수는 18% 증가했으며 피해 면적은 약 8배가 많았다. 지난 3월 영남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은 초속 27.6미터(m)의 태풍급 돌풍과 하루 29건이 동시 발생해 많은 인명피해와 10만 헥타르(ha)가 넘는 산림이 소실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당시 가용할 수 있는 산불진화헬기를 총동원했으나 다수의 산불에 분산 투입되면서 초기 진화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산림청은 행정안전부, 국방부, 소방청 등과 함께 범정부 산불진화자원 운용협의회를 개최해 국가 차원의 총력 대응체계를 논의했다. 협의회에서는 ‘국가기관 산불진화헬기 운영 규정’을 마련하고, 산불이 발생하면 가장 가까운 곳의 헬기를 신속하게 산불 진화에 투입하는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특히, 국방부는 산림청의 장비 지원을 받아 내년부터 군 헬기 143대를 산불 진화 전력으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경상북도 경주시와 경상남도 김해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에서 피해 확산 방지 및 방제 효과 제고를 위한 현장점검을 실시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점검에서는 경상북도·경주시, 경상남도·김해시, 국립산림과학원, 한국임업진흥원 등 관련 전문가들이 참석해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전략과 수종 전환의 필요성을 공유하며, 발생지역 특성을 고려한 방제 방안을 논의했다. 김해시는 최근 소나무재선충병의 증가세가 뚜렷해짐에 따라, 매년 반복되는 피해가 발생하는 집단 피해지에 대해서는 활엽수는 남기고 소나무류는 모두 베어낸 후 새로운 숲을 조성하는 수종 전환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경주시는 오는 10월 개최될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있어, 재선충병의 확산을 막고 경관보호를 위해 총력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이미라 산림청 차장은 “경상지역에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가 심각한 지역이 많아 경북 542억 원, 경남 357억 원을 투입해 총력 방제를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행정력 또한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