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팀장 여름철 폭염으로 불볕 더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때문에 전국 응급실에 신고된 온열질환자는 1,566명으로 이중에서 농업분야의 온열질환자는 전체의 271명(약 17%)이다. 농업분야 온열질환자의 약 79%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발생했고, 주요 발생 시간대는 오전 8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2~14시(20%)에 가장 많다. 특히, 전년 동일 기간 대비 전체 온열질환자는 약 2.9배, 농업분야는 약 2.2배 증가했다. 이에 따른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대책에 오랜기간 온열질환의 무서움과 중요성을 강조해 오고 있는 김경란 농촌진흥청 농업인안전팀장을 만나 깊은 얘기를 들어봤다.<편집자> - 왜 농업인은 여름철 온열질환에 더 많이 노출되나요? ▶네, 농업인에게 농업 활동은 생계와 직결되기 때문에 폭염 속에서도 농작업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더운 날씨로 작물 생육 부진과 병해충 등이 확산하면 소득 감소로 귀결되므로 농작업을 놓을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수분 섭취나 휴식 없이 작업을 이어가는 경우가 많아 온열질환 위험이 다른 산업군보다 높습니다. 농작업이 이뤄지는 공간은 대부분 직사광선에 노출되는 노지와
농촌진흥청은 여름철 농업인 온열질환 피해 예방 및 최소화를 위해 수립한 ‘2025년 여름철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대책’을 토대로 현장 밀착형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년 여름철 농업인 온열질환 예방 대책은 ‘2025년 여름철 자연재난종합대책’(행정안전부, 5월15일~9월30일)에 맞춰 농촌 현장의 특수성과 농업인의 건강 취약성을 고려해 마련됐다. 현재(’25.7.13) 전국 응급실에 신고된 온열질환자 1,566명 중 농업 분야, 온열질환자는 전체의 271명(약 17%)으로 집계됐다. 농업 분야 온열질환자의 약 79%는 60세 이상의 고령층에서 발생했고, 주요 발생 시간대는 오전 8시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12~14시(20%)에 가장 많았다. 특히, 전년 동일 기간 대비 전체 온열질환자는 약 2.9배, 농업 분야는 약 2.2배 증가했다. 농업인은 주로 노지·비닐온실 등 고온에 취약한 환경에서 농작업을 하는 특성상 폭염에 취약한 계층으로 분류된다. 특히 고령 농업인은 연령에 따른 체온 조절 능력 저하와 함께 폭염의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이 있어 온열질환 발생 위험이 더욱 크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온열질환 예방 수칙 보급,
[속보] "오뉴월 감기는 강아지도 걸리지 않는다는데, 한여름 뙤약볕에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재 고양이 보호장소의 고양이 2마리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1형)가 확진되었다고 밝혔다. 해당 고양이는 호흡기 질환 감염이 의심되어 민간 검사기관에 의뢰한 검사 시료를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확인 검사한 결과 2023년 7월 25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되었다. 2016년 12월 국내 고양이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5N6형)가 확진된 바 있으며, 현재까지 인체 감염 사례는 없었다. 농식품부는 의사환축 확인 즉시 질병관리청·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 발생 상황을 신속히 공유·전파하였으며, 서울특별시를 통해 해당 장소의 세척·소독, 출입 통제와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해 해당 장소에 대한 역학조사 등 긴급 방역조치를 시행하였다. 아울러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진에 따라 예찰지역(10㎞ 내) 감수성 동물 사육시설에 대한 예찰·검사, 역학적으로 관련된 사람·시설에 대한 검사 등 방역조치와 전국 동물보호 장소·시설에 대한 조류인플루엔자 예찰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관할 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