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산림조합중앙회, 베트남 합작사와 안정적 조림지 확보 '협약체결'

산림조합중앙회(최창호 회장)는 22일 베트남 바리아 붕따우(BàRịa-Vũng Tàu)성 쑤엔목(Xuyên Mộc)현에 위치한 합작회사 ‘바리아붕따우임업사(BAFOCO, 바포코)’와 합작 조림투자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장은 당초 계획보다 1년 6개월을 앞당겨 25년말까지는 유한회사 지분투자를 완료하기로 협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금년말까지 수익성이 담보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양사가 긴밀히 협력하기로 하였다.


또한 쑤엔목현에 위치한 합작조림지를 직접 방문해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임직원을 격려했다.
산림조합중앙회는 목재자원의 안정적 공급을 담당하기 위해 1994년 베트남에 진출한 이후 총 20,886ha 규모의 조림지를 조성․관리해 오고 있다.


바리아붕따우성 정부 공기업인 바포코사와는 1994년 최초 조림계약을 맺은 후 현재까지 총 8,035ha를 조림해 성공적인 합작조림의 사례를 구축하고 있다.


이와 관련 최창호 산림조합중앙회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양기관의 신뢰가 더욱 돈독해지길 바라며, 지분 참여를 위해 경제성 확인을 거쳐 좋은 결과가 나타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도드람양돈농협, 여름 혹서기 대비 ‘하절기 특별 보강 사료’ 공급
올해 초 독일의 포츠담 기후연구소 발표에 따르면 기록적인 고온 현상으로 올해가 역사상 가장 뜨거운 해가 될 전망으로, 관측 사상 지구가 가장 뜨거웠던 해로 기록된 지 1년 만의 갱신이다. 국내 또한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으로 무더운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도드람양돈농협(조합장 박광욱)은 심각한 혹서기를 대비해 선제적으로 조합원 농가의 피해를 예방하고 농가 수익 증대에 도움을 주고자 하절기 특별 보강 사료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매년 발생하는 여름철 고온 현상은 양돈 농가에서는 피할 수 없는 가장 큰 어려움 중 하나다. 돼지는 계절적으로 여름에 매우 취약한 신체 구조로, 고온으로 인한 스트레스 발생 시 생산성 저하 및 폐사로 이어질 수 있어 체계적인 사양관리가 필요하다. 도드람양돈농협의 자회사 ㈜도드람양돈서비스는 초여름 전 5월부터 시작해 9월까지 집중적으로 하절기 특별 보강 사료를 공급한다. 보강 사료에는 비타민과 미네랄 프리믹스를 증량해 항산화와 미량성분을 강화하고, 항곰팡이제를 적용해 사료 내 톡신 발생을 사전 방지한다. 또한, 기존에는 프리미엄 제품에만 적용했던 고온 스트레스 저감 물질을 일반 제품에도 확대 적용해 돼지의 성장과 번식성적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