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삼겹살데이' 골목상권 활기넣는 캠페인 추진

- 한돈자조금 손세희 위원장 "한돈 먹고, 지역상권도 살리고! 소비자와 돈독해지는 삼겹살데이 기대"
- “소비자는 물론 한돈농가,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온 국민이 풍성해져야"

삼겹살데이가 지닌 가치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골목상권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소비자 참여형 캠페인을 추진한다. 


삼겹살은 ‘오직! 한돈!’, 우리 동네 한돈 자랑! 이벤트는 3월 3일부터 31일까지 약 1개월간 진행되며, 우리 동네의 숨은 한돈 맛집을 찾아 해시태그와 함께 개인 SNS에 업로드하면 참여가 완료된다. 젊은 층을 타깃으로 진행되는 만큼,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에어팟 맥스, 아이패드 등을 경품으로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지역 내 전통시장·정육점·일반 음식점 등에서 한돈 구매 또는 식사 후 영수증을 인증하는 ‘오직! 한돈!’이 합니다! 한돈 먹고, 지역경제 살리기!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된다. 경품으로 식기세척기·무선청소기·온누리상품권 및 한돈 선물세트 등을 제공하며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3개월간 응모가 가능하다.

또한 한국농어촌공사의 농촌여행 포털 ‘웰촌’ 협업, ‘한도니X촌식이와 함께 하는 한돈농촌캠프’ 체험 행사도 추진한다. 한돈과 촌캉스의 매력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경험의 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지역 관광 콘텐츠 발굴 등 지역 상생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이밖에도 한돈자조금은 ▲지역별 시식회 ▲소외계층 나눔행사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돈자조금 손세희 위원장은 “올해로 한돈 삼겹살데이가 한돈자조금 창립과 더불어 20주년을 맞이하는만큼, 소비자는 물론 한돈농가, 소상공인, 자영업자 등 온 국민이 전국 방방곡곡에서 즐길 수 있도록 풍성하게 준비했다”며 “폭 넓은 할인행사, 모두가 동참하는 캠페인으로 돼지고기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전역에 활력이 샘솟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바람을 전했다.

한편, 한돈 삼겹살데이는 지난 2003년 파주연천축협에서 한돈 소비 활성화를 위해 숫자 3이 두 번 겹치는 3월 3일을 삼겹살 먹는 날로 지정한 것을 시작으로, 한돈산업의 주요 연례행사로 자리 잡았으며, 올해로 20주년이라는 기념비적인 해를 맞았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