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공원묘원 조화 사용 반대 압도적 

- 화훼자조금, ‘국립묘원 조화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 발표

 

(사)한국화훼자조금협의회(회장 김윤식)와 녹색소비자연대전국협의회(이사장 전인수)가 전국 국민을 대상으로 ‘국립묘원 조화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를 한 결과 조화사용 반대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자조금협의회가 지난해 자조금 연구용역 사업으로 진행한 ‘국내 조화사용 현황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진행됐다.

 

특히 조화에 중금속과 미세플라스틱 등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 및 국공립 공원묘원에 조화를 사용하는 것을 찬성하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는 ‘조화 사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국립 및 민간 공원묘원의 조화 헌화에 대한 소비자 인식’ 두 가지 방향에서 조사됐다.

 


소비자들은 조화에서 미세플라스틱 발생과 탄소가 배출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응답이 47.0%, '모르고 있었다'는 53.0%로 나타났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