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산림 ESG

산림청 산불진화헬기 조종사 50%가 5년 미만 근무자

위성곤 의원 “산불조기진화를 위해 산불진화헬기 조종사 육성해야”

산림청 산불진화헬기 조종사 50%5년 미만 근무자

헬기조종사 중 90%는 최장 5년 근무하는 전문임기제 공무원

위성곤 의원 “산불조기진화를 위해 산불진화헬기 조종사 육성해야 

전문성과 숙련된 경험이 요구되는 산림청 헬기조종사의 50% 5년미만 근무자로 나타나 경험을 갖춘 헬기조종사 육성과 확보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더불어민주당)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헬기조종사 인력현황에 따르면현재 헬기조종사는 총 86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중 5년 미만 근무자가 43(50%)에 이른다근속연수별로는 20년 이상(1), 15~20(8), 5~10(19),5년 미만(43)등이다.

 

헬기조종사의 경우 현재 신분 보장이 되는 공무원은 86명중 9명에 불과하고나머지 77명은 전문임기제 공무원으로 최장 5년까지만 근무하고계속 근무하기위해서는 별도의 공개채용절차를 거쳐야 한다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산불진화헬기 조종사의 확보와 육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이다.

 

산불진화작업은 연기를 뚫고 저고도 급선회 비행을 하며 산불진화 업무를 수행하여야 하기에 일반비행과 비교하여 고도의 집중력이 필요하다특히 조종사들은 연기 속에 시야가 가려 조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한 번 출동할 때마다 저수지 위에서 물을 담기위해 20번이 넘는 하바링(수면제자리비행)을 해야 하기에 전문성과 경험을 갖춘 조종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헬기조종사의 인력구조와 육성과정이 산불진화에 전문성과 경륜을 갖춘 조종사를 육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위성곤 의원은 “산불발생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상황속에서산불의 조기진화는 산림자원의 보호와 공익적 가치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사고예방 뿐만 아니라 산불조기진화를 위해서 전문성과 경륜을 갖춘 헬기조종사의 확보와 육성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5 8일 산불진화중 고압선 충돌로 인한 비상착륙으로 인하여 정비사가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한바 있다. 박시경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식 아니냐?...'가루쌀' 정책 따져
윤석열 정부의 핵심 농정과제로 지난 2023년부터 추진되었던 가루쌀(분질미) 정책이 2년 만에 목표를 대폭 하향조정하고, 수백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도 시장성을 검증할 기본 데이터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윤석열 정부가 추진한 대표적인 농정 실패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 6월 발표한 가루쌀(분질미) 정책의 생산목표를 지난 2024년 12월 전격 하향조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당초 2025년 가루쌀 생산 목표는 면적 15.8천ha, 생산량 7.5만 톤이었으나, 농림축산식품부의 개선방안(수정안)에는 면적 9.5천ha, 생산량 4.51만 톤으로 모두 39.9% 하향조정했다. 정황근 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신이 내린 선물’이라 극찬했던 가루쌀 정책이 시행 2년 만에 ‘속도 조절’이라는 미명 하에 사실상의 정책 실패를 공식 인정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가루쌀 제품화 지원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정작 가장 핵심인 ‘시장성’을 검증할 데이터조차 확보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