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정보

“고추가격 폭락, 정부 대응수매 적극 늘려야”

건고추 정부수매를 대폭 늘리고 수입고추물량 출하조절로 가격폭락 막아야

김승남의원(전남 보성·고흥 민주당)은 “본격적인 고추 수확기를 앞두고 건고추 가격이 지난해에 비해 절반 수준도 되지 않을 정도로 폭락해 농민들이 시름에 잠겨 있다”면서 “농림축산식품부 이동필 장관에게 가격하락에 따른 정부수매 등 대응전략을 주문하였다”고 밝혔다.

올해 건고추 가격은 지난해 대비 50%이상 폭락하였다. 지난해에는 평균 1만2천500원~1만6천원에 거래되던 건고추(600그램 기준)는 현재 5천5백원~6천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러한 가격폭락은 올해 고추농사 풍년으로 생산량이 증가한 탓도 있지만, 국내생산량에 상관없이 수입고추의 연간수입량이 자율관세할당(TRQ)에 의해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가격폭락을 부채질하고 있는 것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13년 건고추의 수입물량은 전체 6,185톤 정도 인데, 이 중 440톤만 수입되었고 남은 5,745톤이 국산 건고추 출하시기와 맞춰 수입될 것으로 알려졌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올해 건고추의 수매계획은 5,800톤으로 추석 전・후 국산건고추의 수급상황을 고려하여 수매계획을 탄력적으로 조정하고 수입고추의 수입시기를 조절할 계획이다.

김승남 의원은 “고추생산 농민들의 최저 수익보장을 위해서라도 정부는 올해 예정된 5,800톤의 건고추 수매계획을 반드시 지키고, 추가로 수매량을 대폭 늘려야 한다. 또한 기존에 들여온 수입산 건고추가 시장에 풀려 추가 가격폭락이 없도록 점검해야하며, 올해 추가로 들여올 최소시장접근물량(MMA)의 수입 시점을 잘 조절하여 고추가격의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책을 당부하였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사업... 축산분야 추가 모집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함께 2025년도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 시범사업(축산분야)에 참여하는 축산농가를 대상으로 영농활동을 지원하는 직불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사업 신청은 5월 8일부터 7월 31일까지 지자체를 통해 접수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저탄소 농업 프로그램(축산분야) 시범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공익기능증진직불제 사업으로, 메탄과 질소를 저감하는 사료를 급여하는 ‘환경친화사료 급여 활동’과 ‘분뇨처리방식 개선 활동(신규)’으로 구분된다. 축산환경관리원은 농가 선정, 이행점검 및 활동비 산정 등 사업 전반의 운영·관리를 하고 있다. 올해 시범사업은 환경친화사료 급여 활동의 경우 기존 돼지에 한해 지원하던 질소저감사료 급여 활동을 한·육우와 산란계까지 확대하여 공익직불금을 지급한다. 질소저감사료란 기존 사료 대비 단백질 함량을 1~2% 낮춰 잉여 질소를 줄이는 사료로, 급여 활동 이행 시 한·육우는 두당 연간 1만원, 산란계는 마리당 2백원, 돼지는 두당 5천원이 각각 지급된다. 또한, ‘분뇨처리방식 개선 활동’을 새롭게 추가하여, 퇴비화시설에 강제송풍 설비(또는 기계교반+강제송풍 설비)를 설치·운용하는 농업인 및 농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