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사이언스

개도국에 ‘농협 노하우’ 수출한다

이라크‧에콰도르‧콜롬비아‧카메룬‧가나‧모잠비크‧파키스탄‧동티모르‧세네갈 등 9개국

농협중앙회(회장 김병원)는 5월 27일 농협중앙회 본관에서 개도국 농업협동조합 담당 고위급 공무원을 대상으로 ‘농업협동조합 역량강화’ 초청연수 입교식을 갖고 현재 개도국이 직면하고 있는 농촌고리채해소, 농산물유통시스템 구축 방안 등에 대한 한국농협의 경험과 노하우 전수 작업을 시작하였다.

공적개발원조(ODA)사업 일환으로 2주간 진행될 이번 연수는 이라크, 에콰도르, 콜롬비아, 카메룬, 가나, 모잠비크, 파키스탄, 동티모르, 세네갈 등 9개국 18명의 농업협동조합 담당 정부부처 고위급 공무원이 참석한다.

 

연수생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지난 반세기 빈곤을 극복하고 세계 1등 농협으로 성장한 한국 농협의 발전경험과 세계 최고 수준의 농산물 유통시설 그리고 농업인 지원 시스템을 강의와 현장학습으로 경험하게 된다.

또 국가별 발표를 통해 각 국 농업협동조합 현황을 공유하고, 국가별 전담 전문가와 함께 하는 액션플랜 작성을 통해 자국의 경제적·사회적 발전에 도움이 되는 정책마련의 기반을 닦는다.

 

금차 글로벌 초청연수는 올해와 내년 고위급 대상 2회, 2021년 최고위급 대상 1회 등 총 3년에 걸쳐 진행될 예정이며 참가국의 협동조합 육성, 관리 정책 및 제도 입안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실무역량을 강화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농협중앙회는 작년부터 KOICA 글로벌연수 사업 등 ODA사업을 시작하였으며, 여러 개발도상국가와 협력사업을 발굴하고 있다.

 

이날 입교식에서 이경원 농협미래경영연구소 부장은 “농협은 전 세계에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종합농협으로 농축산물 유통사업, 농업인 지원과 영농지도사업 그리고 금융사업 등 조합원을 위한 토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농촌의 고리채해소, 농산물 유통체계 개선 등 개도국에게 좋은 모범사례로 제시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이승돈 농촌진흥청장, 첫 행보는 ‘농작물 병해충 방제’ 현장
이승돈 신임 농촌진흥청장은 8월 17일, 취임 첫 행보로 가을 작기를 시작한 시설 토마토재배 농가를 방문해 ‘토마토뿔나방’ 방제 상황을 점검했다. 이번 방문은 기후변화 등으로 급증하고 있는 병해충의 사전 예방과 피해 경감을 위해 지난 30년간 쌓아온 농업연구 역량을 토대로 농촌진흥청의 연구·개발, 기술 보급에 전력을 다하겠다는 이 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토마토뿔나방은 토마토, 가지, 고추, 감자 등 가지과(科) 채소류을 가해하는 대표적인 검역 해충이다. 발육 최적 온도는 30도(℃)로 고온 일수록 세대 기간이 짧아져 번식 속도가 빨라지고, 습도가 높을수록 유충 생존율이 증가한다. 특히 알에서 부화한 유충이 자라면서 줄기, 과실 등 식물체 조직에 구멍을 내고 들어가 작물 생육을 저해하고 상품성을 떨어뜨린다. 발생 초기에 방제 시기를 놓쳐 유충 밀도가 높아지면 농가 피해가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성충 포획 장치(페로몬 트랩)로 상시 예찰하고, 방충망·끈끈이트랩 또는 교미교란제 등을 설치해 복합적으로 방제해야 한다. 이승돈 청장은 친환경 재배 농가는 관행 재배 농가와 달리 방제 약제를 쉽게 활용할 수 없고 방제 비용 부담 등으로 토마토뿔나방 퇴치에 어려움을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