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치유•여행

저농도 ‘에탄올’ 이용한 토양소독기술 개발

친환경적이고 토양병원균 억제효과 높아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토양에서 발생되는 병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친환경적이고 비용이 적게 들며, 효과도 높은 저농도 에탄올 토양소독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채소나 화훼류와 같은 시설원예작물은 이어짓기 등으로 인해 토양으로 전염되는 세균, 곰팡이, 선충, 바이러스 등의 병해충 발생이 심해 농사를 망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토양병 발생을 막기 위한 최종 수단으로 토양소독을 실시하고 있으나, 비용이나 작업성, 효과 등이 만족스럽지 못한 실정이다. 토양소독방법으로는 화학약품(다조멧 등), 태양열, 열수 등이 있는데, 화학약품이나 열수소독은 효과는 있으나 작업이 복잡하고 비용도 비교적 많이 들며, 태양열소독은 친환경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나 소독효과가 안정적이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농촌진흥청 시설원예시험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1∼2 %의 에탄올을 이용한 친환경 저비용 토양소독기술을 개발해 멜론과 토마토 연작피해지에 적용해봤다. 그 결과, 에탄올 소독 시 세균, 방선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 밀도가 뚜렷이 감소하고 멜론의 검은점뿌리썩음병이나 시들음병, 토마토의 풋마름병, 역병 등이 거의 발생되지 않아 소독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 소독은 약제소독에 비해 토양미생물 억제효과는 다소 높았고, 멜론의 과실 무게와 당도는 같은 수준이며, 소독비용(2 % 처리 시 180∼260천 원)은 더 적게 든다. 소독방법은 에탄올을 물에 섞어 1∼2 %(물 1톤에 에탄올 5∼10L)로 희석하고 관수장치를 이용해 토양이 충분히 적시도록(20∼30톤/10a) 준 다음에 비닐로 토양표면을 1주일 이상 덮어주고 하우스를 밀폐하면 된다. 미리 관수호스를 설치하고 비닐로 바닥을 덮은 다음에 에탄올 희석액을 주는 것이 보다 작업이 쉽고 에탄올의 증발이 적어진다. 에탄올은 토양 속에서 1주일 이상 지나면 분해돼 없어지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가 적고 인체에도 독성이 없어 매우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토양소독기술이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양곡법 등 농업 4법 방향?... "국가 책임 강화에 초점"
당(민주당 농해수 정책조정위원회)‧정(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송미령)은 6월 27일(금) 처음 열린 당정 간담회를 통해 농업 4법 등 주요 법안에 대해 논의하고, 법안별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여기 농업 4법은 양곡법, 농안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이다. ‘양곡법’과 ‘농안법’은 쌀 등 주요 농산물의 과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우선 강력한 사전적 인센티브를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사전적으로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작황이 너무 양호하는 등 불가피한 수급불안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과잉 물량을 매입하고 가격 하락분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현행 전략작물 전환 등을 대폭 확대하여 남는 농산물을 처분하는 ‘사후적 조치’에서 공급과잉과 가격 하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전적 수급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자는 취지이다. ‘농어업재해대책법’은 재해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생산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되, 보험가입농가와 비가입농가, 보험대상품목과 비대상품목 간 형평성을 감안하도록 하고, ‘농어업재해보험법’은 피해 회피‧예측이 어려운 일정 수준 이상의 재해에 대해서는 현행 보험료 할증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양곡법 등 농업 4법 방향?... "국가 책임 강화에 초점"
당(민주당 농해수 정책조정위원회)‧정(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송미령)은 6월 27일(금) 처음 열린 당정 간담회를 통해 농업 4법 등 주요 법안에 대해 논의하고, 법안별로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여기 농업 4법은 양곡법, 농안법, 농어업재해대책법, 농어업재해보험법이다. ‘양곡법’과 ‘농안법’은 쌀 등 주요 농산물의 과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우선 강력한 사전적 인센티브를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하지만, 사전적으로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작황이 너무 양호하는 등 불가피한 수급불안이 발생할 경우 정부가 과잉 물량을 매입하고 가격 하락분을 지원하도록 한다. 이는 현행 전략작물 전환 등을 대폭 확대하여 남는 농산물을 처분하는 ‘사후적 조치’에서 공급과잉과 가격 하락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사전적 수급 관리’ 방식으로 전환하자는 취지이다. ‘농어업재해대책법’은 재해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 생산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지원하되, 보험가입농가와 비가입농가, 보험대상품목과 비대상품목 간 형평성을 감안하도록 하고, ‘농어업재해보험법’은 피해 회피‧예측이 어려운 일정 수준 이상의 재해에 대해서는 현행 보험료 할증을 경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