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특집

◈중국 축산업의 이해

중국의 농업 총생산액 중 축산업이 차지하는 생산액 비중은 1978년 14%에서 2011년 39%까지 성장했다. 특히 1990년대 들어 집단화된 생산단지가 형성되면서 축산업의 빠른 성장세를 주도했다.

축종별 사육마릿수를 살펴보면 2011년 기준 소는 1억360만마리로 전년보다 266만마리 가량이 감소한 반면 돼지는 4억6862만마리로 전년보다 400만마리가량 증가했다. 이밖에 양은 2억8235만마리, 염소는 1억4274만마리, 면양은 1억3961만마리를 기록했다.

연도별 육류생산량은 2011년 기준 우육이 647만4900톤, 돈육이 5억60만4300톤, 양고기가 393만1000톤으로 전년보다 소폭 감소했으나 우유는 3억657만8500톤으로 전년보다 82만톤 가량 증가했다.

이에 대해 홍중산 천진농대 축산학과 교수는 “소와 돼지의 사육규모는 앞으로도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나 과거 양털 생산을 목적으로 했던 양의 경우 양고기 소비가 늘면서 사육규모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 돼지고기 가격 ↓ 양고기·쇠고기 가격 ↑

중국은 소비자들의 소득수준 향상으로 1인당 육류 소비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10년 기준 도시민 1인당 소비량은 쇠고기·양고기 3.8kg, 돼지고기 20.7kg, 가금육 10.2kg, 우유 14kg 등으로 아직까지는 우리나라와 비교해 절반이하나 비슷한 물량을 소비하고 있지만 꾸준히 소비량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축산농가 역시 전체적으로 축산물 가격 파동이 심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소비가 많은 돼지고기 가격은 2011년 정점을 찍은후 현재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돈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 수입은 호주산과 미국산을 중심으로 크게 늘어났다. 한편 주로 볶음요리로 소비하는 돼지고기는 최근 조금씩 구이용으로도 사용돼 돈육 소비량은 점차 늘 것이라는 게 현지 관계자의 말이다.

한편 양고기와 쇠고기가격은 소득 증가로 인한 소비 확대로 오름세를 보여 왔으나 가격이 많이 올라 소비자들이 구매 부담을 느껴 최근에는 오름세가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쇠고기의 경우 육우 수량이 적고 샤브샤브용 수요가 늘고 있어 당분간 높은 가격이 예상된다.

이와 관련 조학형 aT북경지사장은 “쇠고기 수입은 돼지고기와 마찬가지로 호주산 위주로 수입되고 있으나 올해부터 미국산 수입이 증가 추세에 있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용 로봇’ 상용화에 박차!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4월 24일 전북 익산에 위치한 농생명ICT검인증센터에서 ‘2025년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 안내교육’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올해 실증 사업자로 선정된 ㈜싸인랩과 한국농기계공업협동조합을 비롯해, 사업 주관기관인 농촌진흥청, 실증사업 참여기관인 이천·포항 농업기술센터, 그리고 ㈜대동, LS엠트론㈜, ㈜하다 등 주요 로봇 제조업체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교육에서는 실증계획 수립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 농업용 로봇 기술 상용화를 위한 전략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특히, 첨단 농기계 기술 접목을 통한 농업 문제 해결 필요성이 강조됐다. 고령화, 인력 부족, 기후변화 등 농업 분야가 직면한 구조적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술 등 첨단 농업용 로봇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상황이다. ‘농업용 로봇 실증지원사업’은 이러한 기술들을 실제 농업 현장에 적용하여 성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사용자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실증은 ▲경남 함양(양파) ▲충남 당진(벼) ▲경남 거창(사과) ▲경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