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소비생활

국가 ‘곡물조달시스템’ 구축 결국 좌초?

“3년 동안 지지부진, 국가곡물조달시스템 구축 결국 무산”

정부예산 750억원이 투입된 국가곡물조달시스템이 결국 무산되었다.

정부의 최초 계획은 농식품부에서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750억의 예산을 출자하고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다음 중견규모의 해외곡물기업을 인수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국제곡물시장의 활황에 따른 곡물기업의 매물품귀현상과 인수대상 기업의 고가프리미엄 요구로 2012년 7월 인수사업을 중단하게 되었다. 이후, 미국현지의 수출엘리베이터(EGT)의 지분 20%을 보유한 국내기업인 STX팬오션과 합작하여 곡물회사를 신설하고 해당지분을 인수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최근 STX팬오션의 모그룹인 STX가 자금난으로 경영사정이 위기에 빠지자 지난 6월 14일 STX팬오션은 가지고 있던 지분 20% 전량을 메이저곡물기업인 벙기와 이토츄에 매각하였다. 이로서 정부와 aT의 현지엘리베이터 인수계획은 전면 무산되었고 농식품부가 aT에 기출자한 예산 642억원이 국고로 환수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올해 예산 108억원은 작년 국회예산심사 때 “사업이 부진할 경우, 사업전체를 전면 재검토”한다는 부대조건을 명시하고 통과되었기 때문에 전액 불용처리 될 전망이다.

김승남 의원은 “애초에 4대 메이저곡물기업이 독과점을 형성하고 있는 국제곡물시장의 폐쇄적이고 높은 진입장벽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부실한 계획으로 무리하게 추진한 사업이다. 중간에 잦은 계획변경으로 750억원의 예산을 한푼도 쓰지 못하고 메이저 곡물기업에 휘둘리다가, 결국 사업전체가 좌초되는 결과를 가져왔다”라고 지적하면서“올해 예산의 불용처리는 물론 aT에 기출자된 642억원의 자금 역시 국고로 환수하고 사업을 전면재검토 해야한다”라고 주장하였다. 곽동신 livesnews.com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도드람테마파크, 개점 11주년 기념 할인행사 눈길 끌어
한돈 전문식품 브랜드 도드람(조합장 박광욱)은 경기도 이천에 위치한 도드람테마파크 개점 11주년을 맞아, 5월 10일부터 23일까지 ‘11주년 감사 大축제’를 슬로건으로 한 대규모 할인행사와 고객사은행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도드람테마파크는 2014년 6월 문을 연 이후 하나로마트, 정육식당, 약 370평 규모의 대형 키즈랜드를 함께 운영하며 도드람 브랜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6차 산업의 대표 성공 사례로 꼽히며, 오프라인에서 도드람의 가치를 전하는 핵심 채널로 역할을 해왔다. 이번 행사는 지역 고객의 지속적인 관심에 보답하고, 고물가 시대에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고자 기획됐다. 테마파크 내 주요 공간을 중심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혜택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먼저 하나로마트에서는 농축수산물, 가공식품, 생필품 등 생활밀착형 상품을 중심으로 물가안정 특가 프로모션을 운영한다. 도드람의 대표 제품인 도드람한돈을 행사 기간 동안 파격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며, 한돈 가공식품은 최대 50% 할인 혜택이 적용된다. 5월 1일 새롭게 리뉴얼한 정육식당에서는 도드람한돈 오겹살과 목심을 한근에 9,900원의 실속 있는 가격에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