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손세희 한돈협회장 “돼지 농사 쉬운 세상 만들 것”

- “앞으로 한돈시장의 다양성과 고급화사업에 더욱 역점 둘 것”
- “물가 안정만 강조하면 생산 농민들은 뒷전일 수 밖에...이건 큰 잘못!”

【인터뷰...손세희 한돈협회장, 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

 

 

손세희 한돈협회장(한돈자조금관리위원장)은 최근 취임 2주년을 맞아 협회 김춘일 부회장, 구경본 부회장, 문석주 부회장, 조영욱 부회장 등과 함께 농축산전문기자들과 간담회를 갖는 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손세희 회장은 “많이 부족했다! 앞으로도 돼지 키우기 쉬운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한번 더 강조하며 말머리를 이어갔다.

 

손 회장은 “앞으로 한돈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한돈시장의 다양성과 한돈 고급화사업에 더욱 역점 둘 것이다.”고 했다.

 

 

특히, 손 회장은 정부 당국의 물가안정과 관련해서도 말문을 열었는데 “정부의 물가안정 강조는 중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농업 농촌의 역량을 높여 줄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가 앞장서서 할당관세를 남발하여 농축산물 수입을 손쉽게 열어 주는 것은 크게 잘못됐다고 본다." 

 

"물가 안정만을 강조하다 보면 현장에서 속앓이를 하는 생산 농민들은 뒷전일 수 밖에 없는 노릇”이라고 작심발언을 하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이어 손회장은 ASF 확산지역 범위가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과 ASF 예방백신 연구개발과 관련 “국내 ASF 백신개발이 임박한 것으로 알고 있으나, 백신 정책은 부작용으로 인해 생산농가들 피해가 많아, 너무 서둘러 추진할 일은 아니라고 본다. 정부가 더욱 세심하게 살펴 볼 일이다.”라며 말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해서는 구경본 부회장과 김춘일 부회장, 조영욱 부회장이 “한돈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라도 질병발생이 최소화 하도록 더욱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질적인 환경민원 문제에 대해서도 “축산냄세(악취) 문제는 많이 개선되고 있으나, 자원순환농법의 활성화를 통해 잘 풀어 나가는데 함께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문석주 부회장이 덧붙여 말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축산환경관리원 창립 10주년 행사...'타임캡슐' 눈길
축산환경관리원(원장 문홍길)은 창립 10주년을 맞아 전체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타임캡슐 봉입 등 다채로운 행사를 진행했다. 이번 10주년 행사의 화두는 ‘성찰과 도약’으로, 지난 10년간의 경험에 대한 반성과 성찰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하는 다짐과 도약의 시간을 가졌다. 타임캡슐 제막 행사는 축산환경관리원 10년의 역사를 담은 발간물, 보고서, 직원들의 희망 메시지 등을 봉입하고 제막식도 함께 진행하였으며, 봉입된 타임캡슐은 10년 후인 2035년 5월 8일에 개봉할 예정이다. 축산환경관리원은 친환경적인 가축사육환경 조성과 가축분뇨의 자원화 이용촉진을 목적으로 2015년 5월 대전에서 창립하였다. 이후 2019년 세종으로 본원을 이전하여 기관의 운영 기반을 확장하였으며, 2020년 2월 농림축산식품부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어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였다. 이어 2021년 축산환경시험분석센터를 개소하고 비료시험 연구기관, 수질측정대행업으로 공식 인정받아 과학적인 기능을 강화하였으며, 2025년 호남지역 사무소 신설을 시작으로 지역 중심 밀착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기존의 가축분뇨 관리·이용의 주된 업무를 넘어, 2021년 축산환경 개선 전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꿀벌 ‘밀원식물’ 식재 행사 가져
한국농어촌공사는 꿀벌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29일 강원 양양군 달래저수지에서 밀원식물 식재 행사를 개최했다. ‘꿀벌 귀환 캠페인’의 일환으로 진행된 이날 행사에는 한국농어촌공사, 한국양봉협회 강원지회, 트리플래닛, 비콥인증기업 등 40여명이 참석해, 저수지 유휴부지에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원식물인 오동나무 묘목 200그루와 유채를 심었다. 최근 이상기후, 먹이 부족 등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하는 ‘벌집 군집붕괴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꿀벌은 식물의 수분에 중요한 매개자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생태계 회복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는 2022년부터 ‘꿀벌 귀환 캠페인’을 추진해 오고 있다. 밀원식물을 심어 꿀벌의 서식지를 조성하는 한편, 지난해에는 ‘꿀벌 귀환 심포지엄’을 개최해 꿀벌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최구순 한국농어촌공사 총무인사처장은 “최근 기후변화와 도시화로 꿀벌의 서식지가 줄어들며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며 “이번 식재 행사를 계기로 꿀벌 보호는 물론, 지역 양봉농가의 소득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공사는 앞으로도 꿀벌 생태계 복원과 생물 다양성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