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벌꿀 등급제' 인지도 서둘러 높여야

- 국산 꿀에 대한 구입 선호도 높고, 벌꿀 등급제 인지도는 낮아
- 국산 꿀 건강용도로 섭취 71%, 국산 꿀 품질 우수하게 인식 79%
- 가격 높아도 국산꿀 구매 72%, 생산자 직거래  많고 33%, 소포장 선호 53%


소비자공익네트워크(회장 김연화

 

소비자공익네트워크(회장 김연화)는 최근 aT센터에서 국산 벌꿀 소비자 인식 및 실태조사 결과 토론회를 개최했으며, 조사 결과에 대한 주제발표와 관계자 토론으로 진행됐다. 

이번 토론회에는 이승환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교수(前 한국양봉학회장)가 좌장을 맡아 진행하였으며, 권기문 처장(축산물품질평가원), 이영은 명예교수(원광대학교), 전우중 부장(축산신문), 김선희 경기지회장(한국양봉관리협회) 등이 참석했다. 토론자들은 국산 벌꿀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산 벌꿀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도출하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소비자 인식조사 결과에 의하면 소비자들은 국산 꿀을 71.5%가 건강 용도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꿀 구입시 86.7%가 국산 꿀인지 확인하고, 79.2%가 국산 꿀의 품질을 우수하게 인식하였으며 국산 꿀의 신뢰성은 41.7%로 낮게 나타났다.
구매시 포장 형태는 53.7%가 소포장을 선호하였고, 구매 경로는 생산자 직거래가 33.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78.2%가 꿀의 등급 및 인증제품인지 확인 후 구입하였으며, 82.4%가 가격을 고려한 후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벌꿀 등급제는 21.3%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4.5%는 정부가 인증한 등급꿀을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태조사는 전국의 610개 벌꿀 제품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등급표시가 있는 제품이 19.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벌꿀 가격은 500g 기준 평균가격 비교시 외국산 꿀이 46,286원, 천연꿀 18,006원, 사양꿀 8,594원으로 외국산 꿀이 국산 천연꿀보다 2배 이상 비싼 것으로 조사되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권기문 처장은 "벌꿀 등급제 추진 배경으로 FTA 타결 등으로 국내산보다 저렴한 외국산 벌꿀 수입이 증가되는 상황에서 국산꿀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2023년 등급판정 대상 및 등급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회복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원광대학교 이영은 명예교수는 "국산 꿀의 품질을 우수하게 인식하는 소비자에게좋은 품질의 벌꿀을 생산, 유통, 판매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MZ세대의 가치소비 성향을 활용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벌꿀산업 발전 필요성을 알리고 소비 촉진을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양봉협회 김선희 지회장은 "기후변화 등으로 개화기간 단축, 화밀 분비량 감소 등 양봉 농가가 밀원수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개화기 예측 및 꿀벌 사양관리 기술 개발, 밀원수 조림 조성, 벌꿀 고품질관리를 위한 품질검사 제도화, 양봉농가 의무자조금제도 도입, 자조금 운용 규모 확대 필요성 등"을 강조했다. 

축산신문 전우중 부장은 "국내 양봉산업 발전에 놓인 현안으로 밀원수 직불금 제도 도입, 벌꿀에 대한 소비자 불신을 줄이기 위한 품질검사 강화 등 유통구조 개선, 양봉직불금제도 도입 및 정착 등이 필요하고 병해충 방제를 위한 친환경 신약 개발, 병해충 방제 약품 예산 확충, 미래 양봉업을 이끌어갈 젊은 선도 농업인 육성 필요성 등"을 강조해 주목을 끌었다. 나하은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