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농어촌희망재단 ‘청년창업농장학생’ 민혜원 농업인

“경남 고성군에서 ‘겨울부추’ 농사에 도전!”

[현/장/인/터/뷰]⓶...‘청년창업농장학생’ 민혜원 농업인

 

 

- 농업을 시작하게 된 배경은?

 

▶네, 저는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겨울부추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어릴때부터 농사를 짓는 부모님 밑에서 자라 농업에 자연스럽게 관심이 생겨, 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로 진학하게 되었죠.

 

그곳에서 영농특성화과정을 이수하며 진로를 농업으로 결정하게 되었습니다. 

 

- 학교에서 공부한 학과를 선택한 계기는?

 

▶전남대학교 원예생명공학과는 작물재배 뿐만아니라 육종학, 영농경영학, 마케팅 등 원예와 관련된 공부를 폭넓게 배울 수 있었다.

 

이론 뿐만아니라 다양한 실습도 할 수 있기에 진학을 결정하게 됐습니다. 

 

- 청년창업농장학금 알게된 계기는?

▶영농특성화사업단 담당선생님으로부터 장학금의 존재를 알게되었고, 농업분야로 진출할 계획이 있었기 때문애 신청을 하게되었습니다. 

 

- 청년창업농장학금이 어떤 도움이 되었는지?

 

▶우선, 청년창업장학금이 있었기에 등록금과 생활비 걱정없이 학업을 마칠 수 있었습니다.

 

또, 의무교육을 통해 많은 선가농가들을 방문하여 그들의 작물선정, 재배방식, 판로 등을  보며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여 향후 농업계획에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 

 

- 부추를 재배하고 있는 창농한 곳도 소개해 달라?

 

▶네, 저는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겨울부추를 재배하고 있습니다. 농사규모는 기존의 방식대로 진주식 광폭형비닐하우스 6동, 약 2400평을 재배하고 있어요.

 

이번에 12연동비닐하우스약 2600평을 새로 건설하여 총 5,000평의 겨울부추를 재배할 예정입니다. 

 

-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어떤 농업인이 되고 싶은지?

 

▶네, 저희 지역에서는 하우스 관리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하우스 온도,습도,광량 등을 측정하는 기술을 도입하는 농가가 거의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관리하는 사람의 일이 많고 작물을 정확한 기준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재배하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그렇기에 앞으로 지역사회 농업에 스마트팜 기술을 보급하여 미래의 농업이 보다 편안하고 안정적인 직업이 되도록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박시경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