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과수‧밭작물 ‘저온피해’ 막자!

농촌진흥청, 봄기운 완연해도 기온 0도 이하 내려갈 경우 대비해야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봄철 갑작스러운 이상저온 현상으로 과수‧밭작물 등 노지에서 재배하는 주요 작물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농가들에게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최근 10년간(2009~2018) 기상상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겨울은 봄철 이상저온으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2013~2014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 봄기운이 완연하더라도 아직 꽃샘추위가 남아 있고, 4월 초‧중순에 이상저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4~5월은 사과‧배‧복숭아 등 주요 과일나무의 꽃 피는 시기로 이 시기에 저온현상이 나타나면 꽃을 피우고 있는 암술이 말라 열매를 맺지 못한다.

또한 어린 열매는 껍질이 녹이 슨 것처럼 거칠어지는 ‘동녹’이 생겨 상품으로서 가치가 떨어지므로 미리 대응해야 한다.

 

과수농가는 ‘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해 물을 흩어 뿌리는 살수법을 적용하거나 ‘방상팬’을 가동해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한 살수법은 장치를 통해 나오는 미세한 물방울이 나무 표면에 막을 형성해 기온이 심하게 내려가는 조건에서도 나무 조직 표면온도를 0℃ 부근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같은 원리인 자동물뿌리개(스프링클러)보다 물 소비량이 1/3로 적고, 얼음 무게로 인한 가지 부러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살수법을 활용할 경우,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나무온도가 기온보다 낮아 저온피해가 클 수 있다.

 

‘방상팬’은 선풍기처럼 기계바람을 이용해 과수원 내 공기를 순환시켜 차가운 공기가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해준다.

과일나무의 저온피해는 꽃이 빨리 핀 경우에 피해가 심하므로 수시로 꽃 상태를 살펴보고, 인공수분은 2~3회 정도로 나눠 실시한다.

저온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열매 맺음 여부와 모양을 확인한 뒤 열매 솎는 시기를 늦춰 상품성 있는 열매가 맺히도록 관리한다.

 

비닐하우스 등에서 모종을 키워 노지에 옮겨 심는 밭작물의 경우 모를 기를 때 밤에는 보온, 낮에는 환기 등 온도관리에 각별히 유의하고, 늦서리가 지난 뒤 안전하게 심도록 한다.

아주심기 이후 저온피해가 우려될 때에는 비닐터널을 설치하거나 막을 덮어주도록 한다.

저온피해를 입게 되면 작물의 자람이 늦어지고, 심한 경우 잎이 뜨거운 물에 데친 것처럼 변하며 마른다.

 

저온피해가 약할 경우에는 요소 0.3% 액비(액체비료)나 제4종 복합비료(영양제)를 잎에 뿌려 자람새를 좋게 한다.

아주심기 후 식물체의 50% 이상 저온피해를 입었을 경우 해당 식물체는 뽑아내고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다시 심는다.

 

농촌진흥청 정준용 재해대응과장은 “봄철 저온피해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이 늦어지거나 결실 불안정, 말라 죽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므로 적극적인 예방활동과 사후관리를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한국농어촌희망재단 ‘가락상생기금’...산불 피해지역 영농복구에 앞장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회장 이원석)와 회원사 및 농협가락공판장은 지난 3월 안동 등 영남지역에 발생한 산불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농가들을 대상으로 조속한 영농 복구와 회생을 위해 주도적으로 도움의 손길을 펼쳤다고 밝혔다. 이번 피해 복구 지원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한국농수산물도매시장법인협회 가락시장지회가 10억 원을, 협회 회원사 등이 4억 700만원을 출연하여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이사장 박상희)을 통해 추진한 공익사업이다. 한국농어촌희망재단은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주), 대아청과(주), 농협경제지주(주) 가락농산물공판장 등 도매법인과 2023년 12월 상생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도매시장 내 민간 법인의 사회적 책임 확대 및 농어촌 지원을 위한 협약체계를 구축한바 있다. 기부금은 경북(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경남(산청, 하동), 울산(울주) 등 8개 시․군의 피해 농업인 약 8,000여명에게 총 10억 3천만원 규모의 영농자재 교환권 1만여 매와 농기계 46대 등으로 전달되었다. 이번 지원은 ‘가락상생기금’을 활용한 첫 대규모 재해복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