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지역사회

과수‧밭작물 ‘저온피해’ 막자!

농촌진흥청, 봄기운 완연해도 기온 0도 이하 내려갈 경우 대비해야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봄철 갑작스러운 이상저온 현상으로 과수‧밭작물 등 노지에서 재배하는 주요 작물의 피해가 우려됨에 따라 농가들에게 철저한 관리를 당부했다.

최근 10년간(2009~2018) 기상상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겨울은 봄철 이상저온으로 농작물 피해가 발생한 2013~2014년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현재 봄기운이 완연하더라도 아직 꽃샘추위가 남아 있고, 4월 초‧중순에 이상저온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4~5월은 사과‧배‧복숭아 등 주요 과일나무의 꽃 피는 시기로 이 시기에 저온현상이 나타나면 꽃을 피우고 있는 암술이 말라 열매를 맺지 못한다.

또한 어린 열매는 껍질이 녹이 슨 것처럼 거칠어지는 ‘동녹’이 생겨 상품으로서 가치가 떨어지므로 미리 대응해야 한다.

 

과수농가는 ‘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해 물을 흩어 뿌리는 살수법을 적용하거나 ‘방상팬’을 가동해 피해를 줄이도록 한다.

‘미세살수장치’를 이용한 살수법은 장치를 통해 나오는 미세한 물방울이 나무 표면에 막을 형성해 기온이 심하게 내려가는 조건에서도 나무 조직 표면온도를 0℃ 부근으로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같은 원리인 자동물뿌리개(스프링클러)보다 물 소비량이 1/3로 적고, 얼음 무게로 인한 가지 부러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기온이 0도 이하로 떨어졌을 때 살수법을 활용할 경우, 물이 충분히 공급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중간에 물이 부족하면 나무온도가 기온보다 낮아 저온피해가 클 수 있다.

 

‘방상팬’은 선풍기처럼 기계바람을 이용해 과수원 내 공기를 순환시켜 차가운 공기가 한곳에 머물러 있지 않도록 해준다.

과일나무의 저온피해는 꽃이 빨리 핀 경우에 피해가 심하므로 수시로 꽃 상태를 살펴보고, 인공수분은 2~3회 정도로 나눠 실시한다.

저온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열매 맺음 여부와 모양을 확인한 뒤 열매 솎는 시기를 늦춰 상품성 있는 열매가 맺히도록 관리한다.

 

비닐하우스 등에서 모종을 키워 노지에 옮겨 심는 밭작물의 경우 모를 기를 때 밤에는 보온, 낮에는 환기 등 온도관리에 각별히 유의하고, 늦서리가 지난 뒤 안전하게 심도록 한다.

아주심기 이후 저온피해가 우려될 때에는 비닐터널을 설치하거나 막을 덮어주도록 한다.

저온피해를 입게 되면 작물의 자람이 늦어지고, 심한 경우 잎이 뜨거운 물에 데친 것처럼 변하며 마른다.

 

저온피해가 약할 경우에는 요소 0.3% 액비(액체비료)나 제4종 복합비료(영양제)를 잎에 뿌려 자람새를 좋게 한다.

아주심기 후 식물체의 50% 이상 저온피해를 입었을 경우 해당 식물체는 뽑아내고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다시 심는다.

 

농촌진흥청 정준용 재해대응과장은 “봄철 저온피해로 인해 농작물의 성장이 늦어지거나 결실 불안정, 말라 죽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므로 적극적인 예방활동과 사후관리를 위해 노력해주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나아름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건강&치유여행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정책자금 취급·사후관리 강화 현장교육 가져
농업정책보험금융원(원장 서해동)은 11월 21일(금) 경북 지역 농협 정책자금 취급 담당자를 대상으로 NH농협은행과 함께 ‘제1차 농업정책자금 대출취급·사후관리 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정책자금 집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급·관리상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고, 대출기관 담당자의 업무 역량 강화를 위해 마련되었다. 농금원은 최근 정책자금 관리·감독 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정책자금 관리 대외협력 TF’를 구성하여 농협·수협 등 정책자금 취급기관과의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 TF는 정책자금 대출 취급·사후관리 절차 강화를 위한 교육·캠페인 추진, 지원·관리 데이터 구축 등을 통해 정책자금의 건전한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농금원은 이번 교육을 시작으로 권역별 정책자금 현장교육을 지속 확대하고, 집합교육뿐 아니라 농업교육포털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도 단계적으로 활성화할 계획이다. 또한 TF 운영을 통해 축적되는 정책자금 지원·관리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제도 개선 및 정책 방향 설정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해동 원장은 “정책자금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농업인이 체감하는 정책 효과도 커진다”며, “앞으로도 현장 중심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