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여성농업인' 영농활동 실태조사 결과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여성농업인 농사일 비중 지속 증가, 수요 고려한 정책 필요”

급격한 산업화와 이농현상, 농업인구 감소 및 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은 농촌에서 여성의 농업 생산 활동 참여를 증가시켰다. 여성농업인의 농업생산 참여와 역할은 시간이 갈수록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에 따라 관련 정책이 추진되고 있지만, 정책 대상자인 여성농업인이 체감하는 효과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창길) 엄진영 부연구위원 등은 "여성농업인의 영농활동 실태와 정책과제 연구"를 통해 “세대별로 여성농업인이 담당하고 있는 농사일의 비중이 다르다”고 언급하며, “각 세대에 맞는 영농활동 관련 정책 수요를 파악하고 그에 부합한 정책과제를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엄 부연구위원은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중 농업 취업자 비율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농사일을 50% 이상 담당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2008년 43.6%에서 2013년 66.2%로 22.6%p 상승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2008년 조사에서는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이 50% 이상이라고 응답한 품목은 화훼 및 일반밭작물이었으나, 2013년에는 축산을 제외한 모든 품목에서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이 50% 이상이라고 응답했다.

 

특히 보고서에서는 여성농업인의 농사일 담당 비중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세대별로 구분된 정책 수요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6~45세의 청년여성농업인의 담당 비중은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6~65세 여성농업인은 농사일을 담당하는 주축 세대로, 농사일 비중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65~85세 여성농업인의 경우 일부 세대에서 농사일 담당 비중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효과는 매우 미미하고, 이 세대에 속한 여성농업인 대부분은 농사일 담당 비중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연령별로 구별된 농사일 비중에 따라 여성농업인의 정책 요구 또한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26세부터 45세 그룹의 여성농업인은 소득의 불안정성 완화, 자녀 교육의 양적 측면만이 아닌 질적 측면까지 고려한 정책, 자격증 취득, 블로그 운영과 같은 컴퓨터 교육 수요 등이 높았으며, 46세에서 65세의 여성농업인은 노동투입이 가장 많은 그룹으로 가사와 농사일의 병행에 따른 부담을 가장 많이 호소했고, 특히 농번기에 가사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66세에서 85세까지는 대부분 특정한 교육보다는 여가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건강 관련 수업이나 취미 관련 수업에 대한 수요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엄 부연구위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과제로 “정책 전달체계 개선 및 홍보 강화를 통한 ‘정책 인지도 개선’, 여성친화형 농기계 확대사업 개선 및 농번기 마을공동급식사업, 세대별 맞춤형 교육 체계 등 ‘수요자를 고려한 정책 개선’을 강조하며, 무엇보다 농촌 여성에 대한 인식 개선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나남길 kenews.co.kr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한농대-농업인단체, 청년농 육성과 농업환경·사회·투명경영 확산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총장 정현출)는 4월 24일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최흥식), 한국 4-에이치(H)본부(회장 전병설),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회장 노만호)와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발전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년농업인 육성 및 정착 지원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사업 지원 ▲미래 농업을 위한 농업·농촌 연구협력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 프로그램 개발 및 협력 ▲농업·농촌 가치 확산 및 상호 발전을 위한 협력 등 다양한 방면에서 힘을 모으기로 했다. 또한, 한농대 발전기금재단을 활용해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관련 교육, 세미나, 캠페인, 홍보 등 활동을 전개하며, 농촌지역사회에서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을 선도하는 농업인을 포상하는 등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앞장설 계획이다. 한농대 정현출 총장은 “이번 업무협약이 농업분야 환경·사회·투명경영(ESG경영) 확산 및 실천에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앞으로 참여 기관과 적극 협력해 청년농 육성·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