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최종 생산량?...354만톤으로 1%↓

2025.11.13 12:21:47

- 올해 쌀 최종생산량 354만톤(522kg/10a)으로 예상 357만톤(527kg/10a)보다 1% 감소 전망
- "산지쌀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쌀값 하향세"


11월 13일 국가데이터처에서 발표한 2025년산 쌀 최종 생산량은 353만 9천 톤으로 10월 2일 발표했던 예상 생산량보다 3만 5천 톤 감소(△1.0%)하였다.
다만, 올해 생산단수는 522kg/10a로 전년(514) 및 평년(518)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쌀 최종생산량이 당초 예상보다 감소한 원인으로는 깨씨무늬병, 9월 잦은 비로 인한 일조량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지난 10월 13일 최종 생산량이 감소할 가능성을 감안하여, 쌀 초과 생산량 중 일부(10만 톤) 격리를 발표하였다.

최종생산량이 감소함에 따라 올해 쌀 초과생산량도 일부 변동할 것으로 전망되며, 정부는 내년 국가데이터처의 쌀 소비량(’26년 1월 말 예정) 발표 결과를 토대로 수급을 정밀하게 재전망할 계획이다.

현재 가을 잦은 비로 인해 지연되었던 수확은 지난해 수준으로 회복돼, 대부분 완료됨에 따라 산지쌀값은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소비자쌀값 또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산지쌀값은 (10.5) 61,988원/20kg → (10.15) 58,258→ (10.25) 57,403 → (11.5) 56,954원이다.
소비자쌀값은 (10.5) 68,435원/20kg → (10.10) 67,351→ (10.30) 65,118 → (11.10) 64,804원으로 하향세이다.

향후 정부는 벼 매입가·산지·소비자쌀값 등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면서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수급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나남길 kenews.co.kr



-저작권자© 한국농촌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3길8 강남빌딩 02-521-4007 신문등록 2011.4.14 서울,다50581(인터넷신문 발행 2011.10.1 등록 서울,아54506)발행·편집인羅南吉 청소년보호책임朴時瓊 네이버•구글 뉴스검색제휴/국제표준간행물등록 ISSN 263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