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 로봇’으로 노동력 절감 기대!

2014.04.01 10:48:01

기존 인력대비 12배 높은 작업효율 성능으로 농가 소득 올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장원석)은 최근 경기 이천시 모가면 송곡리 우리꽃 농장에서 IT·로봇·원격센싱을 활용한 농업용 로봇 설명 및 시연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산업통상부가 주관하는 ‘부처주도형 농업용 로봇보급사업’을 통해 구축된 농업용 로봇 설치 현장 안내와 농업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농업용 로봇에 대한 정보를 제공, 로봇 업체와 현장 검증 수요처(6개소), 도농업기술원, 시·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 화훼농가 등을 대상으로 분화류 이식로봇에 대한 설명과 현장 시연회가 진행되었다.

 

분화류 이식로봇은 묘판에 파종되어 어느 정도 자란 어린 묘를 규격이 큰 화분으로 옮겨 심는 로봇으로 육묘 트레이에 개별 포트를 담아주는 포트공급기, 개별포트에 흙을 담아주는 상토 충전기, 별도의 작은 묘판에서 생육된 어린묘를 큰 개별 포트로 옮겨 심어주는 자동 이식기로 이어지는 전체 구성이 자동으로 진행되어 노동력 절감과 시간 단축으로 작업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높은 경제적·사회적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분화류 이식 작업을 로봇으로 할 경우 인력대비 12배인 시간당 3000주 정도의 작업성능과 능률향상을 기대할 수 있어 약 66%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식과정의 자동화는 농가의 채소 생산시설뿐 아니라 소규모 또는 대규모 시설원예 특성화 지역 중심 화훼류 육묘장,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및 식물공장에서의 이용이 가능하여 농작업의 생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농업의 강도가 저감되어 고령화 된 농촌 인력과 비숙련자의 활용이 가능해져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초화류 분화가 저원가 고품질으로 대량 생산되어 도시 조경, 꽃길 가꾸기 사업 등 전 국민 정서 순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재단은 이번 농업용 로봇 설명 및 시연회로 분화류 이식 로봇에 대한 설명과 경제성 효과를 설명하여 많은 지자체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고, 농업용 로봇의 보급이 확대될 경우 고령화로 인한 인력부족 문제 및 고역작업 문제 해결에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곽동신 kenews.co,kr

 



-저작권자© 한국농촌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3길8 강남빌딩 02-521-4007 신문등록 2011.4.14 서울,다50581(인터넷신문 발행 2011.10.1 등록 서울,아54506)발행·편집인羅南吉 청소년보호책임朴時瓊 네이버•구글 뉴스검색제휴/국제표준간행물등록 ISSN 263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