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원, 천연 생리활성 물질 분석...농산물 가치 제고에 앞장

2025.09.22 13:47:30

- 지역특화작물 기능성 검증으로 농산물 브랜드 가치 제고
- 농업인·기업 대상 맞춤형 분석 지원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 기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원장 안호근)은 지역특화작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농산물 기능성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물질 ‘글루코시놀레이트(Glucosinolate)’ 10종에 대한 분석 서비스를 새롭게 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글루코시놀레이트는 배추, 양배추, 브로콜리, 무 등 십자화과 식물에 풍부하게 들어 있는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 항암·항산화·항염증 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 소재로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글루코시놀레이트가 분해되어 생성되는 ‘설포라판(Sulforaphane)’은 암세포 증식 억제와 독성물질 해독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최근 국내외 기능성 식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농진원은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LC-MS)를 활용해 글루코시놀레이트 10종에 대한 정밀 분석법을 확립했으며, 국제적 수준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번 분석법은 시료 100mg만으로도 신뢰성 높은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분석 대상은 ▲지방족 화합물 6종(Glucobrassicanapin, Glucoraphanin, Glucoerucin, Gluconapin, Sinigrin, Progoitrin), ▲인돌 화합물 2종(Glucobrassicin, 4-Hydroxyglucobrassicin), ▲방향족 화합물 2종(Gluconasturtiin, Glucotropaeolin)으로 총 10종이다.

 


이번 분석 서비스 제공을 통해 농업인과 관련 산업체는 작물별 기능성 성분을 과학적으로 검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 농산물 브랜드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품종·재배환경별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 정보를 구축함으로써 기능성이 강화된 신품종 개발과 최적 재배법 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농산물 가공식품 개발 과정에서도 성분 변화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할 수 있어 기능성을 극대화한 가공기술 개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글루코시놀레이트 분석 서비스는 농업인, 농식품 기업, 연구기관 등 누구나 농진원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분석 의뢰 접수 후 약 3주 이내에 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안호근 농진원 원장은 “이번 글루코시놀레이트 분석 서비스 개시는 농업의 고부가가치화와 농가소득 증대를 위한 농진원의 기술지원 강화 노력의 일환”이라며, “앞으로도 농업인과 농식품 기업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차별화된 분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



-저작권자© 한국농촌경제신문.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53길8 강남빌딩 02-521-4007 신문등록 2011.4.14 서울,다50581(인터넷신문 발행 2011.10.1 등록 서울,아54506)발행·편집인羅南吉 청소년보호책임朴時瓊 네이버•구글 뉴스검색제휴/국제표준간행물등록 ISSN 2636-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