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신선농산물 수출증가율 29%로 역대 최고

농식품 수출 전년 동기대비 2.7%↑...對중 농식품 수출 회복세 뚜렷

나남길 기자  2018.05.18 18:18:29

기사프린트

지난 4월까지 농식품 수출이 2,243백만불로 전년 동기 대비 2.7% (60백만불)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 수출액(1~4월 누적)은 수출실적 집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4월 당월 수출액도 590백만불로 사상 최대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4월 당월 농식품 수출액은 전년 동월 대비 8.7% 증가해 국가전체 당월실적(500.6억불) 1.5%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타 산업 대비 농식품 분야의 수출증가폭이 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식품 수출증가 원인을 신선농산물 역대 최대수출(95백만불전년 동기 대비 29%), 아세안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수요층 확대와 중국시장의 회복세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신선농산물 수출증가 요인신선농산물 수출액은 421백만불(29%) 인삼류(39%)  과실류(25%) 수출을 견인하였다.

인삼류는 중화권 뿌리삼 수요증가미국 대형마트(Costco) 등에 음료제품 입점확대아세안 및 일본의 건강기능식품 관심 증대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과실류는 신선농산물 전용 판매망 구축 확대등 정책적 노력의 결과 베트남 시장에서 배와 중국시장에서 유자차가 큰 폭 증가했다.

특히신선농산물 최대 시장인 일본에서는 인삼음료파프리카김치토마토  신선농산물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18.6% 증가했다.

기능성 및 건강식품 인기로 인삼음료(3백만불, 97.5%), 수출단가를 회복한 파프리카(32, 6.8%), 식자재 수요 증가세인 토마토(4, 15.2%)를 비롯해 일본 현지 배추 작황부진에 따른 한국산 김치(20, 29.3%수출도 증가했다.

 

아세안 시장 수출증가 요인= 아세안 시장은 금년 1월 이후 제1의 농식품 수출시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474백만불(18.6%) 가파른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류스타(이승기 등팬 사인회 및 박항서 감독과 함께한 농식품 홍보행사 등으로 한국 농식품의 안전건강 이미지가 확산되었고동남아권역 대표 온라인 몰인 Qoo10  주요 온오프라인 집중 판촉 등으로 베트남(152백만불, 19.3%), 태국(88, 43.1%)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아세안 권역 최대 수출국인 베트남은 배(7백만불, 144.6%), 음료(8, 32.5%) 등과 조제분유(3, 12.4%) 수출이 증가했다.

 

중국 시장 수출회복 요인= 중국은 지난해 사드사태 이후 지속적으로 두 자릿 수 감소세(전년 동기 대비 누계기준)였으나, 올해 4월 당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30% 증가(‘17.4 66백만불 ’18.4, 85)하면서, 4월 누계기준으로 중 농식품 수출 감소폭이 한 자릿수(5.5%)로 줄었다.

유커들의 방문허용 등 중 긴장 완화 국면에 따른 한국 상품 소비심리 회복과 조제분유유자차생우유음료 등 주요품목 실적 반등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조제분유는 중국의 신조제분유법 시행(‘18.1) 따른 규제강화 등으로 전년부터 수출이 감소세였으나수출업체의 현지 사전등록 등으로점차 회복 중(17.8백만불15.2%)이다.

유자차는 ‘17년 하반기부터 ’85°C‘와 같은 프랜차이즈 카페 등 식자재 시장에 대한 신규 판로를 개척(전체 14백만불, 25.5%, 중국 6백만불, 42.2% 증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수출증가 요인으로 평창올림픽 및 남북정상회담 등으로 인한 국격제고중 긴장관계 완화 시장 상황 개선과 함께신남방 정책추진에 따라 동남아 등으로 신속한 시장다변화 추진,관 협력 신규 판매망 구축국가별 맞춤형 홍보 등 수출지원사업이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김민욱 수출진흥과장은 앞으로도 신선농산물 수출 증가추세가 유지되도록 시장개척활동 지원현지 물류시스템 개선 등 수출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