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내 ‘종자산업’ 5천억시장으로 불어나

국립종자원, 2017년 종자업 실태조사 결과 발표에서 드러나

나남길 기자  2018.04.27 12:45:38

기사프린트

국립종자원은 종자산업법 제4조 및 통계법 제18조에 따라 지난해 실시한 종자업실태조사(’16년 기준결과를 발표했다종자업실태조사는 ’16년 국가통계로 처음 승인받아, 1차년도 본 조사 결과를 지난해 공표한 바 있다. 이번 공표자료는 ’16 12월 기준 종자업 등록업체를 대상으로 한 2차년도 결과이며올해는 3차년도 조사를 추진한다.

아울러종자산업법 개정(‘16.12)으로 육묘업 등록이 제도화됨에 따라, ’18년에는 육묘업실태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국가승인통계로서의 적합성에 대해 검토할 계획이다.

이번 조사는 종자산업 전반에 관한 조사를 통해 종자산업 육성 및 관련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 확보를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종자업실태조사의 주요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16 12 31일 기준 종자업을 등록한 1,490개 업체 중 실제 영업 중인 1,345개 업체(폐업휴업복수 등록 등을 제외) 대상으로 실시했으며이 중 1,337개 업체(99.4%)가 응답했다종자업 실태조사는 통계청 소속 각 지방청의 조사원들이 전국의 종자업체를 직접 방문해 조사(통계대행 현장조사, ‘17.8.8.9.4.)한다. 

조사항목종자업체 조직·판매규모 및 품목별(채소·과수·화훼·버섯·식량·산림·특용/사료/기타시장규모 등 산업 전반에 걸친 기초통계와 함께연구개발(R&D), 수출관련 항목 등을 추가함으로써 종자산업에 대한 농가와 업계의 이해와 관심을 높이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산업규모= 2016년 종자업체 1,345곳의 종자 판매액은 5,408억원이며상토 등 종자 이외 매출액을 합한 총 판매액은 9,469억원이다. 

산업구성= 종자 판매액이 5억원 미만인 업체는 1,175(87.9%)로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5억원 이상 15억원 미만인 업체는 97(7.3%), 15억원 이상 40억원 미만인 업체는 46(3.4%), 40억원 이상인 업체는 19(1.4%)로 소규모 업체가 주류를 이뤘다. 개인 사업체가 895(66.9%)로 가장 많고회사법인 295(22.1%), 재단법인 등 회사 이외 법인 146(10.9%), 비법인단체 1(0.1%)이다. 

판매시장종자 판매 실적이 있는 업체 1,157(전체의 86.5%)  국내 판매만 하는 업체가 1,084(93.7%)로 내수가 대다수를 차지하며해외 판매만(수출)하는 업체는 5(0.4%), 국내·해외 판매를 병행하는 업체는 68(5.9%)로 조사한다.

판매액(전체 5,408억원기준 국내 판매액은 4,722억원(87.3%), 수출액 655억원(12.1%), 해외 생산·판매액 31억원(0.6%)이다. 

수출입= 종자 교역규모 1,216억원 중 수출액 655억원수입액 561억원이며수출업체는 77(5.8%), 수입업체는 153(11.4%)이다.

품목별 수입액은 채소(74.0%), 특용·사료·기타(11.4%), 화훼(11.0%) 순이다. 수출액은 채소 종자가 628억원으로 전체의 95.9% 차지한다국내에서 품종을 육종하여 채종을 해외에서 한 경우(해외채종)는 제외된다. 

연구개발신품종 개발에 투자하고 있는 종자업체는 315(23.6%)이며종사자 10,475명 중 관행육종 종사자는 992(9.5%), 생명공학 종사자는 179(1.7%)이다. 업체의 연구비 총 투자금액은 746억원이며이 중 자체개발비 637억원(85.3%), 수탁개발 88억원(11.8%), 위탁개발 21억원(2.8%)이다. 육종인력은 15 이상 경력자가 31.1%로 가장 높았고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7.3%, 대졸 종사자는 48.2%이다. 

정부지원지원희망 분야는 운영자금융자 43.0%, 시설 및 연구장비 임대·공동활용 20.9%, 종자육종관련 기술교육 12.3% 순이다. 국립종자원 관계자는종자업 실태조사의 국가통계 승인 이후 2차년도에 걸친 조사로 종자산업에 대한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향후 실시되는 육묘업 실태조사도 국가통계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관련 정책 수립학계·업계의 통계자료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종자산업 통계 D/B를 구축할 계획임을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