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스마트팜 확산 방안” 발표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농업-전후방산업 동반성장모델 확산

나남길 기자  2018.04.16 11:32:33

기사프린트

농림축산식품부는 416일 제5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하였다.

정부는 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개방화고령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 농업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보고 주목해 왔다.

 

스마트팜은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oT) 등을 통해 수집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최적의 생육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의미한다우선 스마트팜에서는 최적화된 생육환경이 유지되므로 단위 면적당 생산량이 높아지는 등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통제된 시설에서 안정적 생산이 가능해져 농업인들의 판로 확보 및 수출 확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아울러 스마트팜 운영시스템 개발컨설팅방제 서비스 등 청년들에 적합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도 기대된다.

이에 정부는 지난 11혁신성장 전략회의를 거쳐 스마트팜 확산을 정부의 혁신성장 핵심 선도사업 중 하나로 선정하였다

이후 농업계연관 산업전문가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스마트팜 확산을 위한 추진전략과 추진과제를 확정하였다.

 

기존의 스마트팜 확산 정책이 개별 농가 단위의 스마트팜 보급에 집중함에 따라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초 인프라 조성과 혁신모델 창출에는 미흡하였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번 대책은 정책 대상을 청년 농업인과 전후방 산업으로 확대하고교육·연구·생산 기능이 집적화된 확산거점을 조성해 혁신모델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기존 정책과 차별화된다.

이번 대책은 스마트팜 확산·고도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로 청년 창업생태계 조성산업 인프라 구축스마트팜 혁신밸리(이하 혁신밸리‘) 조성을 제시하였다.

 

청년들이 스마트팜에 도전하고성장하며실패해도 재기할 수 있도록청년 스마트팜 창업생태계를 구축한다.  우선 ‘19년부터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이하 보육센터‘) 4개소를 지정하고장기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22년까지 600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

기존의 교육과정은 기존농가 중심의 단발성 교육으로신규 농업인은 선도 농가를 방문해 스마트팜 관련 노하우를 전수받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

 

이번에 신설되는 교육과정은 최대 1 8개월의 장기 교육과정(입문교육2개월교육형 실습 6개월경영형 실습 1)이며해외강사 특강과 성적 우수자에 대한 국외연수 기회를 제공해 교육의 질과 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올해는 본 사업에 앞서 시범 운영기관을 선정하고, 60명의 청년 교육생을 선발(3)하여 4월부터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내년 본 사업부터 교육 인원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