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울시 학교·공공급식 방향...'농촌에 활력 불어 넣을 듯'

농식품부‧서울시 학교급식 '꿩먹고 알먹어'... 친환경농산물과 쌀 대체품목 공공급식하기로 손잡아

나남길 기자  2018.03.07 01:54:18

기사프린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영록) 서울특별시(박원순 시장) 3 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농업인 대표와 급식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지속가능한 학교·공공급식과 도농상생 정책 실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서울시는 학교·공공급식에 친환경 농식품을 공급하여 급식의 질을 한 단계 높이고농식품부는 서울시의 학교·공공급식을 통해 쌀 대체작물로 생산한 농산물과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확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먼저농식품부와 서울시는 쌀 대체작물(유채)을 원료로 한 가공품(간장된장고추장유채유 등)을 서울시 학교·공공급식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Non-GMO 학교급식 시범사업을 시작할 예정이며도봉구를 비롯한 6개 자치구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25개 자치구의 전체 초중등학교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서울시 학교·공공급식용 장류와 유채유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콩과 유채의 적정 소요량을 확보하고장류와 유채유 제조가공업체에게 콩과 유채 등 원료 구입제조·가공시설 설치 및 리모델링 등을 위한 융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둘째농식품부는 서울시 학교공공급식 품질기준에 적합한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 조성과 조달시스템을 구축한다.

서울시는 학교·공공급식에 친환경식재료의 사용비율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친환경급식의 안정적 조달을 위해 도시형 공공급식센터를 설치·지원할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서울시의 학교·공공급식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  대체작물(유채 등재배농가를 친환경농가로 단계적으로 육성하고산지 친환경농가를 조직화하고친환경농산물 공급센터를 활용한 친환경농산물 조달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해 나간다. 

마지막으로지역단위 푸드플랜 구축유기농 특성화 거리 조성  서울시와 농업·농촌 간 도농상생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교류·협력 사업을 지원한다

 

한편농식품부와 서울시는 본 협약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 민관협치형 실무협의회를 구성운영하고부속서를 마련하여 양 기관 간 원활한 업무 추진을 도모할 예정이다.

농식품부 김영록 장관은 서울시의 학교공공급식을 통해 쌀 대체작물과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확대를 기대한다라며, “앞으로 서울시를 비롯한 다른 지자체에서도 학교·공공급식에 친환경 농식품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나남길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