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불균형과 최저가 입찰에 따른 유통질서 문란 등으로 얼룩지고 있는 학교우유급식의 문제점을 해결키 위해서는 통합급식 도입과 최저가 출혈경쟁 방지대책 마련 도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국회농림어업 및 국민식생활발전 포럼(공동대표 홍문표, 김춘진, 김영록 국회의원), 한국낙농육우협회(회장 손정렬) 주최, 농수축산신문, 낙농정책연구소 주관으로 지난 7월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국회의원 10여명과 축산단체장 및 정부관계자, 낙농가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학교우유급식 이대로 좋은가’ 국회 토론회가 열띤 분위기속에 개최됐다.
홍문표 의원은 인사말에서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필수영양소 공급과 저소득층의 영양불균형 해소 및 우유 소비기반을 확대해 낙농산업의 안정적 발전을 도모키 위해서는 학교우유급식의 확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다양한 논의를 통해 학교우유급식 문제의 해결방안과 함께 낙농산업의 발전 계기를 마련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학교급식 우유의 최저가 입찰, 덤핑으로 유통질서 문란 현상이 발생하면서 유업체의 비용부담이 결국 낙농가와 낙농산업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자칫 학교우유급식 시장붕괴, 도농간 영양불균형 심화 등의 문제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에 있어 시급한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황진하 국회의원(경기 파주시을)은 “학교우유급식 확대와 청소년기의 우유소비량 확대는 대한민국의 미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학교우유급식의 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적 기반 마련에 지원포를 쏘겠다”며 학교우유급식 제도개선에 든든한 지원군을 자청했다.
박명재 국회의원(새누리당, 경북 포항시남구울릉군)도 “이번 토론회를 통해 학교우유급식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새삼 알게됐다”며 “관련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들이 있다면 함께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손정렬 한국낙농육우협회장은 현재 국내 낙농산업은 깊은 침체국면에 빠져 있다고 운을 떼며 “개방화 시대, 원유생산량은 늘어나고 원유소비량은 줄어드는 반면 유제품 수입량은 늘어나고 있어 낙농가들은 사면초가의 상황에 빠졌다”며 “학교우유급식 확대가 낙농산업의 중대한 농정과제라는 것을 인지하고 학교우유급식 실태 및 현행 제도의 문제점을 냉철히 진단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실효성 있는 학교우유급식 정책 수립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