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우수후계농업경영인 307명 선정

1% 경영자금 추가 지원(2억원)으로 정예 선도농으로 육성

UPDATE 기자  2015.07.30 14:47:37

기사프린트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동필)는 후계농으로 선정된 5년이 경과한 자를 대상으로 인증심사를 거쳐 2015년도 우수후계농업경영인 307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우수후계농업경영인 인증은 후계농으로 선정된 후 5년이 경과된 자를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영농 기본역량과 경영능력을 검증하는 제도로서, 품목별 기술전문가와 경영전문가로 이루어진 48개 인증심사팀이 신청자별로 27개 항목에 대한 현장실사 및 면접(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심사를 진행한다.

 

  금년도에 선정된 307명의 특성을 보면, 205(1.6%), 3047(15.3%), 40 126(41.0%), 50123(40.1%), 606(2.0%)으로 4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남성이 268(87.3%), 여성이 39(12.7%)이다.

 

  경종 분야는 216(70.36%)으로 그 중 채소가 110명으로 가장 많고, 축산 분야는 91(29.64%)이 선정되었고 그 중 한우가 52으로 가장 많다. 선정자 모두가 품목별 전국평균 경영규모 및 소득수준의 1.7배 이상으로, 사과의 평균 경작면적은 2.30, 매출액은 6천만원~1억원 수준이고, 참외의 평균 경작면적은 1.49, 매출액은 1억원~2억원 수준이며, 인삼의 평균 경작면적은 5.09, 매출액2억원~5억원 수준이다.

 

  우수후계농 인증제도는, 후계농으로 선정된 후 어느 정도 영농기반을 갖춘 농업인을 엄선하여, 사업확장 등을 통해 한 단계 더 도약하고 정예 선도농업인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제도로서, 우수 후계농업인으로 인증되면 연 금리 1%, 5년 거치 10년 분할상환의 조건으로 최대 2억원의 자금을 지원하게 되며, 경영능력 제고 및 재배기술 향상을 위하여 집합적 경영심화교육, 선도농가 지도(멘토링) 교육, 농업선진국 국외연수 등의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 관세화중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개방화된 국제적(글로벌)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정예인력 육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기로, 앞으로도 매년 300명 수준의 우수후계농을 선정하여 이들이 정예 전문인력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생산기술 및 경영 등에 관한 교육과 창업자금 등의 정부지원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ke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