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

‘국내 농업-식품제조업’ 연계성에 주목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 연구 통해 밝혀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국내 식품제조업에 비해 농림업 생산액은 정체 내지 소폭의 감소를 거듭하고 있다. 또한 식품제조업의 농림어업 부문 생산 유발효과도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등 식품제조업과 국내 농업의 연계성은 약화되고 있다. 이에 식품제조업과 국내 농업의 연계성 강화를 통해 식품산업의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이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 대응과제’의 1년차 연구를 통해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 논의의 배경과 식품제조업이 직면한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고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식품정책’을 위한 대응 과제를 도출했다.

 

연구책임자인 김상효 KREI 연구위원은 “농업과 식품제조업은 전후방산업으로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동시에 농장에서 식탁까지(Farm to Table)를 아우르는 푸드시스템의 핵심 주체”라고 밝히며,“이러한 배경 속에서 식품제조업과 국내 농업의 연계성을 강화한다면 포용성장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식품정책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국내 식품제조업의 규모는 2012년 75.1조 원에서 2018년 92조 원까지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같은 기간 농림업 생산액은 2012년 51조 원, 2016년 49.5조 원, 2018년에는 52.5조 원 규모에 그쳐 정체 내지 소폭의 감소가 계속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식품제조업의 농림어업 부문 생산유발효과도 2010년 10억 원당 3.4억 원에서, 2015년 3.1억 원, 2018년 2.8억 원으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과 농업의 불균형적인 성장은 식품기업이 국내산 원재료를 이용하는 대신 수입산 원재료를 사용하면서 비롯된다.

 

식품제조업의 2018년 기준 전체 농수축산물 원재료 사용량은 1,787만 톤에 달하지만, 이 중 수입산 원재료는 1,228만 톤으로 전체 사용량의 68.7%를 차지했으며, 국산 원재료는 559만 톤으로 31.3%에 그쳤다. 또한 2016년을 기점으로 수입산 원재료 사용량 증가율이 국산 원재료 증가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식품기업이 수입산 원재료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 안정적인 물량 공급 등이 주요한 원인이지만, 국내산 원재료에 대한 소비자 선호가 부족하다는 점 또한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수입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국산 원료를 사용하면 제품의 원가 상승은 필연적이지만, 소비자들이 비싼 국산 원료 제품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조사결과, 소비자들이 가공식품을 구입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은 가격(30.3%), 품질(17.3%), 맛(16.9%), 유통기한(12.7%) 순이며, 원재료 원산지는 7.3%로 5번째로 나타났다. 더욱이 연령대가 낮을수록 원산지를 중요하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원재료 원산지를 고려하는 비중이 매우 낮았으며, 국산 원재료로 만든 제품을 구입한다는 응답 또한 연령대 중 가장 낮은 반면, 국산·수입산 관계없이 구입한다는 응답은 가장 높았다.

 

또한, 국민적인 관심을 이끌어냈던 국산 농산물 장려 운동인 신토불이 운동에 대해, 응답자의 78.9%가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20대는 42.5%만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여 30대 72.4%, 40대 82.4%, 50대 85.1%, 60대 이상 86.9%와 뚜렷한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김상효 연구위원은 “20대의 국산 선호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들 세대가 소비의 주역으로 성장한다면 국산 원재료 사용이 크게 감소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국산 원재료가 수입산에 비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안전성과 품질을 가장 큰 장점이자 무기로 삼아야 한다”고도 하였다.

 

연구진은 식품제조업과 국내 농업의 연계 강화는 결국 최종 소비자의 선택에 달려 있으며,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가 강화된다면 포용성의 측면에서 농가 소득 증대와 농촌 사회 안정, 지역경제 발전 및 일자리 창출 등을 기대할 수 있고,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는 농업의 생산 기반 및 식품제조업의 안정적인 공급 기반 확충, 농산물 수급 및 가격 안정에 기여, 소비자 선호 대응 등의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식량 자급률 개선으로 국가 차원의 식량안보 제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 강화를 위한 과제로 3가지 목표와 세부 추진방안을 제시했다. 첫 번째 목표는 ‘가공식품 원료 농산물 거래 활성화’로 수요 기반의 가공용 국내 원료 농산물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지원사업에 대한 홍보와 융자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두 번째 목표는 ‘지방정부 주도의 지역식품산업 활성화’로 설정했으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세일즈 노력, 지역 전략 품목의 전문화·대형화, 지역 내 선도형 가공업체 육성, 전문 코디네이팅 지원, 중앙정부 연계 협의체 및 모니터링 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마지막 목표는 ‘엄격한 품질 관리 및 국산 장려 소비문화 형성’으로, 국내산 고품질 차별화 전략 추진, 스마트한 국산‧원산지 표시 정보 개선, 국내산 선호 유도를 위한 정보 전달 강화, 20대 중점 대상 교육‧홍보 추진, 새로운 국산 농산물 장려운동 추진을 방안으로 제시했다.

 

연구진은 농업과의 연계성 강화 이외에도 중소식품제조업체 경쟁력 강화, 식품제조업 일자리 문제, 식품제조업의 지속적 성장 개척, 식품제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를 위한 대응 과제를 제시했다. 나아름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괴산군 '트리하우스 빌더' 참가자 모집 17일까지
충북 괴산군 산촌활성화종합지원센터(센터장 임찬성)는 귀·산촌 희망자, 임업인, (예비) 산주를 대상으로 ‘2024년 트리하우스 빌더 교육과정 1기’ 참가자를 1일부터 17일까지 모집한다. 이번 교육은 임업 활동과 관련된 체험과 산림휴양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는 숲경영체험림 조성을 위한 실전 프로그램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는 트리하우스를 주제로 한다. 교육 내용은 ‘트리하우스 짓기, 나무의 성장과 변화’를 시작으로 트리하우스를 완성하기까지 필요한 △탭볼트 설치 및 플랫폼 만들기, △목조주택 기본 원리 이해, △벽체와 지붕의 설치, △놀이 작업 시설 만들기 등을 배울 수 있다. 트리하우스를 짓는 방법에 대해 노련한 목수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현실적인 노하우를 배울 수 있다. 일찍이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숲과 나무 위에 오두막집인 트리하우스를 지어 아이들의 놀이터 또는 피로를 풀거나 책을 읽는 휴식공간으로 크게 이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산림문화·휴양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숲경영체험림 등에 트리하우스를 짓고 체험/숙박 등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졌다. 산촌활성화종합지원센터는 지난해 목조온실 만들기, 숲속 작은 집 짓기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