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ASF 경북·충청 확산...‘겨울’ 고비

경기·강원 번진 ASF, 멧돼지 예찰·방역에서 성패 갈릴 듯
CSF양성, 폐사체 증가 경북·충북 위험 신호 서울도 불안

야생멧돼지를 상대로 한 예찰·방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경기 북부를 지나 강원도까지 진출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올 겨우내 경기 남부와 강원도를 가로질러 경북과 충북으로 확산될 것이란 예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구미을지역위원장)이 최근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로 받은 야생멧돼지 질병 진단 통계자료에 따르면 경북·충북은 물론, 서울도 ASF로 부터 안전하지 못한 실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지난 2015년부터 올 8월말까지 진행한 야생멧돼지 혈청검사 자료에 따르면 ASF와 감염원과 전파경로, 증상이 유사한 돼지열병(CSF) 항원·항체검사 결과, 총 검사건수 7,618건중 양성판정은 253건으로 나타났다. 전체 양성판정 건수의 92%에 달하는 232건이 경기·강원지역에서 나왔다. 경기·강원이 아닌 지역에선 양성판정이 21건에 불과하다. 

 

 

2019년 1월부터 8월까지 야생멧돼지를 상대로 한 CSF검사건수는 1,530건이었다. 이중 양성판정은 167건으로 조사됐다. 야생멧돼지의 CSF양성반응 건수중 66%가 올들어 8월말까지 집중된 것이다. 올들어 양성판정 건수의 95%에 해당하는 158건이 경기·강원지역에서 나왔다. 올해 경기·강원지역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 나온 CSF양성 판정 건수는 9건이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생물안전연구팀이 2018년 1월부터 2019년 10월 6일까지 실시한 야생멧돼지 진단결과에 따르면 멧돼지 폐사체수는 98마리로 나타났다. 경기·강원에서 64마리가 나왔고, 나머지 지역에서 발견된 폐사체수는 경북 15마리, 경남 7마리, 서울 5마리, 충북 3마리, 충남 3마리 등 34마리다. 경북과 서울에선 떼죽음 현상이 나타났다. 경북 문경에선 7월 11일 마성면에서 5마리가 무더기로 발견됐고, 서울 또한 7월14일 노원구 상계동에서 4마리가 함께 죽어 있었다.

 

이미 ASF가 발병한 경기·강원을 제외한 지역의 발병 상황을 살펴보면 서울시 북한산, 물남산, 인왕산, 상계동, 중계동, 우이동 등지에서 올해 8건의 야생멧돼지 CSF양성판정이 나왔다. 서울에선 2016년에도 은평구에서 야생멧돼지 1마리가 CSF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 다음으로 CSF양성판정 야생멧돼지가 많았던 곳은 경북지역이다. 2015년 구미시 옥성면 1마리, 2017년 경산시 와촌면 1마리, 그리고 지난해 김천시 감문면과 개령면에서 각각 1마리 등 4마리가 양성반응을 보였다. 경북에 이어 충북에서 야생멧돼지 3마리가 CSF양성판정을 받았다. 지난해 7월 괴산군 사리면과 옥천군 동이면, 그리고 올해 단양군 적성면에서 1마리가 나왔다. 

 

경남 창녕군과 함양군에서 2017년과 2018년 각각 1마리, 그리고 2016년 충남 공주에서 1마리가 CSF양성 판정을 받았다. 

국내에서 야생멧돼지 ASF 발생과 상관관계를 보인 폐사체 발견 숫자, 그리고 ASF발병의 선행지표로 평가받는 CSF양성판정 결과를 함께 고려해서 분석하면 ASF발병 경로가 경기·강원을 지나서 경북, 그리고 충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은 셈이다. 뿐만 아니라 경북·충북으로 번진 ASF는 이후 경남, 충남으로까지 확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에서 ASF가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사실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실제로 국립환경과학원이 집계한 야생멧돼지 폐사체 마리수 통계를 보면 올 9월 국내 ASF발병을 예견이라도 하듯 올 7월들어 급증세를 보인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조사한 야생멧돼지 CSF양성판정 결과를 놓고 지난해와 올해를 구분해서 정리하면 앞으로 야생멧돼지 관리를 소홀하게 다룰 경우 ASF가 어떻게 확산될 수 있는지를 한 눈에 잘 드러내 보여준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김현권 의원에게 제출한 2018년 야생멧돼지의 CSF양성판정 통계를 이용해서 발병지도를 만들면 마치 현재의 야생멧돼지 ASF발병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2019년 8월말까지 발생한 CSF양성 판정통계에서 같은 날, 같은 시간에 중복해서 발병한 지역을 걸러낸 다음 발병지를 표시해서 2018년과 비교하면 ASF가 장차 경북과 충북까지 넘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올 겨울이 ASF확산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올 10월 가을이 다가오면서 먹거리를 찾아 짝짓기를 위해 멧돼지의 이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그리고 날씨가 추워질수록 ASF생존력이 더 강해진다. 더구나 멧돼지 사체를 즐겨먹고 이동반경이 매우 넓은 독수리떼가 조만간 몽골에서 이동하게 된다. ASF를 확산시킬 수 있는 위험요소들이 늘어나는 것이다.

 

김현권 의원은 “야생멧돼지를 어떻게 제어하느냐에 따라 ASF로 인한 피해규모가 크게 달라질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35년이란 긴 시간이 지나서야 ASF를 종식시킨 스페인을 닮아갈 것인지, 아니면 스페인의 선례를 눈여겨 보고 야생멧돼지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통해 2년만에 ASF를 잡은 체코의 성공을 따라갈 것인지 올 겨울 우리가 어떻게 야생 맷돼지에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김현권 의원은 “올들어 기승을 부리고 있는 CSF의 확산 경로는 ASF를 막기위해 애쓰고 있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며 “경계지역을 시작으로 군대가 투입돼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관리하고 나선 만큼 앞으로 완충지역과 발병지역에 있는 감염 가능성이 높은 멧돼지들고 제거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육돼지는 몰살시키면서 ASF감염원이자 숙주인 야생 멧돼지를 방치할 수는 없다는 얘기다. 나하은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