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뉴스

김낙철 한국계란유통협회장

항생제‧살충제 잔류물질 검출시 원인 제공자 처벌 강화 요구
“생산자 농장 출하전 휴약기간 준수하고 항생제‧살충제 안전성 확보해야”

<차/한/잔…김낙철 한국계란유통협회장>

“항생제‧살충제 잔류물질 검출시 원인 제공자 처벌 강화하라”

“생산자는 농장 출하전 휴약기간 준수하고 항생제‧살충제 안전성 확보하라”

전국 각지 2천여 계란 유통인들은 ‘살충제 계란’ 파동 이후 막대한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감내하며 계란산업의 회생을 위해 각고의 노력을 펼쳐왔다.

사실 ‘살충제 계란’ 파동의 주범이 누구인가? 바로 계란만 팔면 그만이라는 ‘무책임한 농장주’들이 아닌가. 말 그대로 사고는 누가 치고 수습은 애꿎은 유통인이 져야 하는 작금의 현실에 어안이 벙벙할 지경이다.

아직도 ‘살충제 계란’ 사태가 수습도 되지 않는 상황에서 대한양계협회는 ‘계란 DC’,‘후장기’ 등등 운운하며 공정거래위원회에 고발 조치도 서슴치 않았다. 깊은 수렁에 빠진 계란산업을 회생시키기 위해 불철주야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는 유통인들을 격려하지는 못할망정 협박을 일삼는 행위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다.

 

특히 지난 수십년간 계란 유통인들은 생산량이 많고 적음을 따지지 않고 거래 농장과 전량매입후 판매하는 형태를 유지해 왔다. 이를 두고 양계협회에서 계란 유통인들이 마치 농가를 착복하고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무리’로 여기고 공정거래위원회 고발, 세무조사를 언급하는 것은 시정잡배들과 진배없는 짓이다.

계란 안전성 논란은 순전히 생산농장에서 사양관리 소홀로 인해 야기되었지만 이에 따른 책임과 반성은 전무한 가운데 생뚱맞게 유통인들에게 책임을 전가시키는 어처구니없는 행태로 변질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사실 양계협회는 ‘살충제 계란’ 파동이 후 안전성이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확산되자 이에 따른 방지책으로 자연스럽게 대두되었던 것이 바로 ‘산란일자표기’ 제도이다. 김현권 국회의원 등도 여러 차례 토론회에서 ‘산란일자표기’를 시행해야 한다고 밝힌바 있다.

애초에 이런 주장이 대두되었을 때 양계협회측에서 산란일자표기 시행을 묵인하지만 않았어도 작금의 현실은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미 물은 엎지러져 이렇다할 대응도 못한 가운데 ‘산란일자표기’가 강행되었고 이로 인해 식약처 앞에서 2달여간 천막농성을 이어가며 강력반대하고 있지만 녹록치 않은 상황이다. 계란산업 종사자로써 안타깝기 그지없다.

 

그동안 유통인과 농장들은 십수년간 자율적인 협의를 거쳐 공정하게 거래를 해 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양계협회 주장처럼 유통인들이 폭리를 취해왔다면 농가들과의 거래는 당장 중단되었을 것이며 사회적 논란까지 거센 후폭풍이 몰아쳤을 것이다.

농장과 유통인들은 나름의 거래 방식을 확립하고 수십년간 거래를 지속해오고 있는 것을 두고 근거 제시도 없이 일방적인 폭리를 취한다는 주장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

양계협회는 또 유통인들의 폭리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광역형 GP센터 운영을 내세웠지만 이미 10년전부터 ‘해야 한다’는 논란만 반복되어온 유명무실한 제도를 꺼내들었다. 농협에서도 외면하고 있는 광역형 GP센터를 꺼낸 것은 양계협회가 현실적인 감각이 떨어져서 인지 순간의 위기를 면피하기 위함인지 따져 볼 일이다. 분명한 것은 계란산업의 위기는 광역형 GP센터로 극복될 수 없다는 점이다.

특히 계란산업의 목을 죄고 있는 수급불균형의 논란도 해법 모색이 시급하다. 통상적으로 산란계 입추수수는 6,500만수 규모가 적정한 규모인데 현재 입추수수가 7,400만수에 달한다. 여기다 방학 등으로 인해 소비량이 급감하면서 계란이 적체되면서 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당장 1,000만수 규모의 산란계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해법을 마련하지 않고서는 계란산업의 불황은 지속될 수밖에 없다.

계란산업은 안팎의 논란으로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계란산업의 맏형 역할을 자처하고 있는 양계협회에서 슬기롭고 능동적인 대처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한 시기이다. 이제라도 양계협회는 무엇을 먼저 해결할 것인지 우선 순위를 두고 전력을 쏟길 바란다.

양계협회는 더 이상 명확한 근거 제시없이 일방적인 주장을 당장 중단해 계란 유통인들에게 고통을 전가시키지 말기 정중하게 부탁드린다. 계란 안전성 논란을 계란 유통인들에게 전가시키지 말고 농장단위에서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소비자들과 소통하는데 사력을 다해주길 바란다.

전국 2천여 계란 유통인들은 작금의 계란산업 불황을 타개할 수 있는 방안과 계란 유통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 계란산업이 새희망을 품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김낙철 한국계란유통협회장 kenews.co.kr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포토뉴스 파노라마


농/업/전/망/대

더보기

귀농·귀촌소식

더보기

배너